본문 바로가기
직업창고·´″°³оΟ♡/패션♡직업자료방

[스크랩] 섬유 용어 정리 [가공관련]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1. 2. 8.

권축가공 [ crimping ] [捲縮加工]

섬유의 방적성을 향상시키고 부풀음을 주며, 직물의 텍스쳐 효과(textured effect)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이나 섬유에 권축(크림프, crimp)을 주는 것을 말한다.

기모가공 [ raising finishing ] [起毛加工] 

직물 표면을 기모하여 직물에 구슬 모양 또는 물결 모양을 나타내게 하는 가공을 말한다.

엉컹퀴(teasel) 기모기로 기모하고, 털깎기(shearing machine)와 내핑기(napping machine)를 차례로 사용한다


내구가공 [ durable finish ] [耐久加工] 

착용 기간동안 세정, 드라이클리닝을 하여도 직물에 주어진 형태, 광택, 방추성 등의 특성이 오랫동안 남아있게 하는 가공.

내구성 광택가공 [ durable glaze finish, DG finish ]  

세탁에 내구성이 있는 광택을 섬유제품에 부여하는 가공.

광택제로는 합성수지류가 쓰이며, 광택용 캘린더와 같은 기계적 방법을 병용한다.


내핑가공 [ napping finish ]

기모 후 내핑기에 걸어 잔털을 구슬 모양, 물결 모양 등으로 만들어 특수한 외관을 나타내는 가공공정이다. →내핑

내핑 [ napping ] 

기모하고 시어링(shearing)한 직물에 적당한 온․습도를 부여하여 위에서 요철면을 가진 고무판으로 누르며 편심운동에 의하여 전후, 좌우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수평 운동시켜 직물 표면을 마찰함으로써 잔털을 구슬 모양이나 물결 모양 등으로 만들어 특수한 외관을 갖게 하는 공정. 외투 등의 가공에 이용된다.


네가펠공정 [ Negafel process ] 

양모의 방축가공 방법으로, 양모를 적당량의 포름산을 넣은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으로 처리한다.


대전방지가공 [ antistatic finish ] [帶電防止加工] 

소수성의 합성섬유가 마찰 때 발생되는 대전(帶電)현상을 막는 가공법이다.

방적, 제직 등 대전에 의하여 생산이 곤란하게 되므로 섬유의 표면에 전기 전도도가 큰 음이온활성제 등을 부착시켜 대전을 막게 한다.

동시 연신가공 [ simultaneous draw texturing ] 

부분연신(partially oriented yarn, POY)사의 물성 향상을 위해 연신과 가공(texturing)을 동시에 하는 가공이다.

구체적인 공정은 연신과 가연, 열처리로 행하여진다. 이렇게 제조된 연신가공사는 레질리언스(resilience)가 좋지 못하며, 실의 표면이 까칠까칠하여 균일한 염색에 문제점이 있으나 에너지 측면에서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동시 염색가공 [ simultaneous dyeing and finishing ] 

염색과 가공을 일욕(一浴)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듀어러블 프레스가공 [ durable press finish ] 

의복이 착용 조건하에서 형태에 변화를 가져오지 않도록 처리하는 가공.

다시 말하면 인위적으로 준 주름의 유지성 및 퍽커링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복합가공.

드로 텍스쳐가공 [ draw texturing ]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연신 및 가연 가공에 있어서 연신과 가연 두 공정을 단일 기계로서 동시에 가공하는 것.

라미네이트가공 [ laminating ] 

편성물․직물․부직포․종이 등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수지 연신 필름 등으로 접착시키는 가공을 말한다.

리플가공 [ ripple finish ] 

면, 스테이플 파이버 직물은 가성소다 액에서 수축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얇은 직물에 물결형 가공을 행하는 방법.

가공법에는 2가지 종류가 있으며, 하나는 가성소다에 대한 수축도가 다른 2가지 종류의 섬유를 교직한 직물을 가성소다액 속에 통과시켜 잘 수축되지 않는 부분에 주름 모양을 이루게 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알칼리를 함유한 풀감을 직접 직물에 날염하여 날염하지 않은 부분에 주름 모양을 이루게 하는 방법이다.


머서화가공 [ mercerized finish ] 

셀룰로스 섬유 제품을 진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해서 광택 등을 부여하는 가공을 말한다.

머서화가공에 의해 직물은 광택, 흡습성, 염색성, 강도 등이 증가한다.

장력하에서 20~25%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장력 상태에서 60초 전후 팽윤시킨 다음, 장력상태대로 헹군 후 온수세, 산 중화, 수세 공정 순으로 행한다.

온도는 낮을수록 효과가 있으나 침투성 저하, 촉감 경화 등의 문제 때문에 25℃ 정도의 실온(室溫)이 보통이다. 특히 딱딱한 촉감 가공을 목적으로 할 때는 5℃ 이하로 cold 머서가공을 행한다.

거품 머서화가공 [ foam mercerization ] 

면제품을 머서화가공할 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기포제(起泡劑)를 첨가해서 미세한 거품을 생성시켜 처리하는 거품가공.


고온 머서화가공 [ hot mercerization ] 

수산화나트륨의 냉욕(冷浴)에 의한 머서화는 섬유표면이 먼저 치밀해져 수산화나트륨이 섬유내부로의 침투가 어려워 불균일한 머서화가 되기 쉽다. 고온에서의 머서화가공은 수산화나트륨의 섬유내부로의 침투가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미 머서화가공 [ semi mercerized finish ] 

면포에 머서화 효과를 약하게 얻도록 알칼리 처리를 하는 것.

저온 머서화가공 [ cold mercerization ] 

머서화가공은 일반적으로 25℃정도의 상온에서 가공을 하나, 저온 머서화가공은 5℃이하에서 하는 경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10℃정도에서 가공한다. 저온에서 머서화가공을 하면 촉감이 경화되기 때문에 의마가공(擬麻加工)의 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면직물 실크가공 [ silk finish on cotton ] 

머서화․털태우기․슈라이더(schreiner)가공을 거친 가공을 말한다.

풀먹이기 때 망초를 바로 사용하면 광택이 좋아진다.

모스가공 [ mossing finish ] 

색 무늬로 제직한 방모직물로, 강하게 축융 가공한 것. 잔털을 많이 내놓았지만 그 천의 조직이 보이는 것.

무광가공 [ delustering ] [無光加工] 

인조섬유는 강한 광택으로 인해 하품(下品)의 느낌을 주는데, 이 광택을 감소시키는 가공법을 말한다.

므와레가공 [ moire finishing ] 

캘린더 등으로 나이테 무늬를 나타내는 가공.


므와레 캘린더 [moire calender] 

므와레가공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엠보싱캘린더를 말한다. 구조는 보통의 엠보싱캘린더와 같은 것으로, 약 50~80올/2.54㎝의 가는 평행 횡선을 조각한 칠드 롤러와 보통의 연질 페이퍼 롤러로 구성된 것으로, 증기, 전열, 또는 가스 등으로 100~130℃전후로 가열한다.


발수가공 [ water repellent finish ] [撥水加工] 

섬유 제품에 물을 튕기는 성질을 부여하는 가공을 말한다.


방균가공 [ antibacterial treatment ] [防菌加工] 

섬유제품에서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균제로 처리하는 가공.

방균방미가공[antibacteria and antifungal finishing ] 

→방미가공

방미가공 [ mildew proofing finish ] [防微加工] 

섬유에 기생하는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하는 가공이다.

방부가공 [ rot proofing ] [防腐加工] 

섬유가 세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공으로서, 면, 마 등의 옥외용 제품에 실시한다.

곰팡이 등의 성장으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름알데히드, 카볼릭산, 평산, 살칠산 등이 방부제 [ antiseptic ]로 사용된다.

방수가공 [ water proofing ] [防水加工] 

직물가공방법의 하나로,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가공.

유질, 고무 등을 써서 불통기성으로 한 것과, 우산, 비옷 등과 같이 왁스나 그 밖의 물질을 써서 통기성을 크게 해치지 않고 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앞의 것은 땀의 증발이 나빠 의류로서는 비위생적이나 방수성은 완전하고, 뒤의 것은 통기성이어서 의류에 적합하다.

고무 방수가공 [ rubber water proofing ] 

직물류의 불통기성(不通氣性) 방수 가공법으로, 근래는 석유 벤젠에 생고무를 용해시켜 배팅기로 직물에 코팅한다.


단백질 방수가공 [ protein-water proofing ] [蛋白質 防水加工 ]

단백질류(카제인, 젤라틴 등)를 알루미늄염 또는 포름알데히드 등으로 응고시키는 방수 가공법으로, 1욕법과 2욕법이 있다. 1욕법은 젤라틴, 우지(牛脂)비누, 명반을 물에 섞어 함께 끓이고 냉각하는 것이고, 2욕법은 아교, 물, 글리세린을 제1액으로 하고 40% 포르말린을 물에 용해한 것을 제2액으로 해서 제1액에서 침지 건조하고 제2액에서 응고 건조한다.

불통기성 방수가공 [ water proof finishing ] [不通氣性防水加工] 

방수제 또는 그 밖에 방법으로 가공하여 물의 침투를 막는 일종의 피막을 직물 표면 또는 내부에 만들어 섬유와 섬유의 간격을 폐쇄하여 물의 침투를 막는 외에 공기의 유통도 차단하는 가공을 말한다.

재료로는 생고무, 고무 라텍스, 합성고무, 염화고무, 비닐수지, 나일론수지, 셀룰로스 에스테르 등이 있다. 가공 방법은 보통 코팅과 침지방식이 쓰인다.


에스테르화 방수가공 [ esterifcation water proofing ] 

셀룰로스를 에스테르화하여 발수성을 부여하는 가공법.

에테르화 방수가공 [ etherification water proofing ] 

셀룰로스의 OH基를 고급 알코올로 에테르화하여 발수성을 부여하는 가공으로, 내세탁성이 좋고 내구성이 있다.


왁스 방수가공 [ wax water proofing ] 

왁스의 발수성을 이용하여 방수 효과를 내는 가공이다. 왁스질로서는 목납(木蠟)․밀납(蜜蠟)․라놀린․파라핀 등을 이용하나, 왁스질은 단독으로 사용이 되지 않고 다른 방수제나 단백질 등과 같이 병용한다. 이의 가공법에는 도장법, 분무법, 건식법, 유화법 등이 있다.

방염가공 [ flame-retardant finish ] [防焰加工] 

화학적으로 약제처리를 하여 직물의 불에 대한 저항성, 또는 지연성을 부여하는 가공.



방오가공 [ soil resistant finish ] [防汚加工] 

소일 리지스턴트 가공, SR가공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소일 릴리스 가공의 의미를 포함하므로 SR가공이라 총칭한다.

오염에는 토사․먼지 등과 같은 건성, 땀․과즙․음식물 등과 같은 수성, 동식물유․광물유․인체에 의한 유지류 등과 같은 3종류가 있다. 이들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소수성인 합성섬유에는 대전방지제를 사용하고, 친수성인 천연섬유에는 발수제, 발유제를 사용한다. 발수, 발유성의 불소계발수, 방유제를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 소일 릴리스가공, SR가공

방유가공 [ oil-resist finish ] [防油加工] 

직물에 유지류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가공.

글리콜류, 카복실산의 축합물, 또는 글리콜류를 함유하는 제인(zein)액 등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처리직물은 통기성이 결여된다.


방융가공 [ antimelt finish ] [防融加工] 

합성섬유제품에 아크릴레이트 등의 내용융성 피막을 형성시키는 가공.

예를 들어 체육관의 마루 바닥에 사용되는 재료(열의 불량도체)는 미끌어지거나 넘어질 때 무릎부분 등에 의해 국부적으로 급격한 마찰을 받으면 순간적으로 고온이 되어 이 부분의 열가소성 합성섬유가 연화 또는 용융에 의해 구멍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담배재에 의한 코트나 의자커버의 구멍을 방지하거나 고로(高爐) 작업, 주조(鑄造) 작업자의 유니폼에도 이용된다.


방진가공 [ dust-resistant finish ] [防塵加工]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직물을 가공하는 방법으로서 일종의 방오가공이다.

면 등의 친수성 섬유는 비교적 먼지의 부착이 적지만, 방수 유연제 중에서 방진효과가 있는 것이 있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수성 섬유는 대전되기 쉬우므로 정전기에 의하여 먼지를 부착하는데 대전방지제로 처리하면 방진 효과를 얻게 된다.

방추가공[crease-resistant finish, CRF가공][防皺加工] 

직물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가공을 말한다. 면, 아마, 인견이나 혼방직물은 보통 합성수지로 처리한다.

방축가공 [ shrink resistant finish ] [防縮加工] 

세탁 등에 의한 직물의 수축을 방지하는 가공을 말한다.

실이나 직물은 제조과정(방적, 정련, 표백, 가공 등 각종 공정)에서 신장을 받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어진 직물은 잠재적으로 내부변형을 많이 가진다. 따라서 습윤, 가열 등을 받으면 내부변형의 완화가 일어나 직물이 수축하게 된다.

또 이 잔류변형 완화에 의한 수축 외에 모직물은 펠트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수축한다. 이와 같은 수축은 제품성능으로서 좋지 않으므로 방지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방축가공법으로는 기계적 가공법과 화학적 가공법이 있다.


기계 방축가공 [ machine shrunk ] [機械 防縮加工]

기계적으로 방축가공을 하는 방법으로, ① 샌포라이즈(sanforize)가공, ② 런던 슈랑크(London shrunk) 등이 알려져 있지만, 특히 후자의 것을 말한다. 모직물의 방축가공으로 이용된다.


압축수축가공 [ compressive shrinking ] [壓縮收縮加工] 

방축 가공의 일종으로서, 천을 기계적으로 강제 수축시켜 방축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방충가공 [ moth proofing finish ] [防蟲加工] 

충해(蟲害)에 견딜수 있도록 섬유에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양모섬유가 옷좀, 나방 등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도록 가공하는 것을 가리킨다.


방취가공 [ anticrobial treatment ] [防臭加工] 

섬유류에 위생가공을 하여 착용시에 발생하는 악취를 막아주는 효과를 내는 가공을 의미한다.

위생가공에는 방취가공, 방균가공, 방미가공(防微加工)등이 포함된다.


방향가공 [ perfumed finish ] [芳香加工] 

직편포에 향료를 부여하는 가공.

향료에는 여러가지의 것(자스민계나 라일락계 등)이 이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물에 녹지 않는 것이 많아 물에 에멀젼화시키거나 용제에 녹여 침지법이나 분무법에 의해 착향한다. 이때 섬유상에서의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착제가 병용된다.

최근에는 섬유제조의 단계부터 섬유자체에 방향시킨 것도 개발되어 있다.

벌키가공 [ bulky finish ] 

실과 실 사이에 공극을 부여함으로써, 적은 실의 양으로 부피를 크게 하는 물리적 가공법이다.

이 가공법을 받은 실을 벌키얀(bulky yarn)이라고 한다. 주로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열수축성을 이용한다. 이 가공에 의해 보온성․신축성․유연성․통기성 등이 향상되고, 촉감이 개선된다. 가공방법은 가연 해연식․가연식 등이 있다.

본딩가공 [ bonding finish ] 

라미네이트가공의 일종이라고도 할 수 있는 가공.

다른 종류의 2매의 천을 접착제 또는 폼(foam)으로 접착시키는 가공이다. 전자는 0.5~0.6㎜의 얇은 foam을 2매의 직물 사이에 끼우고, 이것을 가열, 용융시켜 직물을 융착시킨다. 제품은 보온성이 좋아 방한복에 사용된다.

사이카텍스가공 [ saicatex process ] 

에멀젼 날염의 일종이다. 이탈리아의 세랄페니아社가 판매하는 W/O형 유화제 사이카텍스를 사용한다.

샌포라이즈 [ sanforize ] 

물리적인 방축 가공법의 일종.

천이 세탈할 때 줄어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계적인 처리에 의해서 가공 때 장력을 주지 않고, 세탁에서 수축하는 만큼 기계적으로 수축시키는 가공방법이다.

서머졸가공 [ thermosol process ] 

합성섬유 특히 폴리에스테르사나 그의 혼합물을 분산염료 또는 분산형 형광염료로 염색하는 방법의 일종이다. 이 가공법은 미국의 듀퐁 회사에서 개발한 것이며 패딩, 중간 건조, 열처리 공정을 함으로써 염색되도록 되어 있다.

보기를 들면, 직물에 분산염료 또는 분산형 형광염료를 패드, 날염한 후 중간 건조를 거쳐 200℃ 전후의 열풍 속에서 수초간 열처리하여 착색시킨다. 이때 중간건조에는 논 터치 드라이어, 열처리에는 큐어링기, 핀 텐터, 실린더 건조기 등이 이용되고 있다.

세팅 [ setting ] 

수분 존재하에서 열처리에 의해 실이나 직물의 형체를 고정하는 처리 방법. 실의 꼬임고정, 합성섬유 등의 열가소성을 이용한 열 고정도 포함한다.

소일 릴리스 가공[ soil release finish, SR가공 ] 

방오와 동의어. 특히 공기 중의 정유진애를 흡착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하며, SR이라고도 한다.

이 가공법은 특히 폴리에스테르 100% 및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혼방직물에 적용되지만, 수지 가공제와도 병용된다


수지가공 [ resin finish ] [樹指加工] 

섬유직물의 경화․탄성․방추․방축 및 내마모성의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하여 수지 처리하는 가공.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가공 [ urea formaldehyde resin finishing ] 

요소와 포르말린을 알칼리성에서 반응시키면 물에 녹는 에틸올기를 많이 함유하는 수지액이 되고 이것을 농축시킨 다음 산성으로 하면 경화 수지가 된다.

이때 충전제, 착색제를 넣고 건조하면 성형분이 된다. 끈끈한 수지를 염화암모니아로 산성으로 만들면 목재나 종이의 접착제가 되고, 수지를 알코올 용액으로 해서 종이나 섬유에 입히고 가열 건조하면 방추․방축가공이 된다.

배이킹 [ backing ] 

① 카펫의 파일을 고정시키기 위해 기포의 뒤쪽에 수지를 먹이는 것.

② 파일 직물에서는 바닥실이 가끔 파일絲와 교착되는데 이 중에서 바     닥조직을 말한다.


순차 연신가공 [ sequential draw texturing ]

합성섬유의 가공방법으로 부분 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 POY)를 이용하여 연신과 가공(texturing)을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행하는 공정이다. 공정절차는 연신, 열처리, 가연, 열처리 순서로 이루어진다.


슈라이너가공 [ schreiner finish ] 

면포류를 슈라이너 캘린더에 걸어 견과 같은 광택을 내도록 하는 가공법을 말한다.


슈렁크가공 [ shrunk finish ] 

면직물 또는 박지의 면교직물에 수산화나트륨 처리를 하면 수축되어 마직물 같은 가공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silket 가공과 달리 직물에 긴장을 주지 않고 18~30°Bé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4~5분간 침지한다. 그리고 충분히 물로 씻은 뒤 묽은 황산 속에 통입하여 알칼리를 중화한다. 다시 수세한 후 중탄산소다의 묽은 액에 통입하고 수세하여 건조한다.

슈퍼워시가공 [ superwash finish ] 

국제양모사무국이 개발한 양모의 방축가공법 가운데 하나로 슈퍼워시라는 이름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 가공은 산성 클로리네이션과, 수용성이고 양이온을 분자내에 가지고 있는 폴리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처리한 양모의 방축가공방법. 강렬한 세탁에도 견딜 수 있는 고도의 방축효과를 나타낸다.


스웨드가공 [ suede finishing ] 

주로 면직물에 기모하여 피혁의 뒷면과 같은 외관 및 촉감을 주는 정리 가공이며, 일명 샤미가공(shammy finishing)이라고도 말한다.

카보랜덤(carbolandum) 기모기를 사용하여 편성물의 기모를 한다. 면포 기모에서는 최근 침포 기모기와 전모기를 연결시켜 교대로 기모․털깎기를 하는 방법도 있다


습식가공 [ wet finishing ] [濕式加工] 

피염물을 습윤상태, 물 속 또는 처리액 속에서 가공하는 방법이다.

발호, 정련, 표백, 염색, 머서화가공, 자융, 편융, 수지가공 등의 가공법이 이에 속한다.

알칼리 감량가공

폴리에스테르를 강알칼리인 가성소다로 처리하여 중량 감소시키는 가공법.

촉감이 실크와 같이 소프트하게 되고, 드레이프성이 좋아진다.

앤티슬립가공 [ antislip finishing ] 

직물 등의 경사와 위사의 슬립을 방지하는 가공으로서, 슬립 방지제를 침지법 또는 패딩법으로 천을 처리하여 그대로 건조한다. 직물의 태를 딱딱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에스알가공 [ SR finish ]

SR가공은 소일 리지스턴트 가공이다. 실질적으로는 소일 릴리스 가공의 의미를 포함하므로 SR가공이라 총칭한다. 즉, 방오가공이다.

오염에는 토사․먼지 등과 같은 건성, 땀․과즙․음식물 등과 같은 수성, 동식물유․광물유․인체에 의한 유지류 등과 같은 3종류가 있다. 이들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소수성인 합성섬유에는 대전방지제를 사용하고, 친수성인 천연섬유에는 발수제, 발유제를 사용한다. 발수, 발유성의 불소계발수, 방유제를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 방오가공, 소일 릴리스가공

에어젯텍스쳐드(Eltex가공 or spun-like가공) [ air jet textured ] 

Air Jet Textured 가공에 의해 만들어진 가공사이다.

필라멘트실에 비해 함기량(含氣量)은 증대되지만, 스트레치사(stretch yarn)처럼 신축성이 크지 않으며 torque가 없는 가공사이다.


에어젯트가공

에어가공의 일종으로 타스란 가공이라고도 한다. 인터레이스 이상으로 급속히 유동하는 공기의 난류중에 개개의 필라멘트에 많은 루프, 코일, 이음매듭 등을 발생시켜 벌키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크게 얽힘을 부여한다. 혼섬, 벌키가공에 이용된다.

에어쿨가공 [ air cooled finish ] 

실 사이의 간격, 또는 공간을 유지시켜, 개방이나 다공성 효과를 주기 위한 직물 가공 기술. 이런 형태의 가공은 여름용 직물에 알맞다.

열고정 [ heat set ] [熱固定] 

열가소성 섬유를 열처리하여 제품의 형태를 안정화시키는 것.

합성수지로서 열가소성이 있는 것은 방사 후에 내부 비틀어짐이 남는데, 분자 사슬간의 응집 에너지 이상의 열에너지를 가하면 비틀어짐이 완화되면서 한층 안정한 상태가 되려고 수축이 일어난다.

열 고정은 세탁, 열탕 처리에 의한 수축을 방지하고 평활한 표면을 유지하며 형상의 안정화가 목적이며, 건열고정법과 습열고정법이 있다.

오팔가공 [ opal finishing ] 

오팔 가공과 오팔 날염의 2종이 있다. 전자는 내약품성의 차를 이용해서 혼방 또는 교직물의 한쪽 섬유를 제거함으로써 투명한 무늬를 내는 가공을 말한다.

예컨대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내산성 섬유와 인견, 면과 같은 식물성 섬유의 교직물에 황산과 황산알루미늄을 넣은 풀로 날인한 다음 120℃~130℃에서 3~4분간 열처리하면 식물성 섬유가 탄화되어 수세하면 투명한 무늬를 얻게 된다.

후자는 날염풀에 텅스텐산, 몰리브덴산의 가용성 염류를 넣어 날염한 다음 바륨, 마그네슘, 칼슘염 등의 용액에 통과시킴으로써 포면에 백색 불용성 침전물을 생성시켜 유백색의 무늬를 얻게 되는 백색 날염법의 일종이다.

왁스가공 [ waxing finish ] 

풀감이나 고무류를 사용하여 면직물에 독특한 글레이즈 효과를 부여하는 가공. 이 천은 캘린더링, 프레싱 및 광택 처리되고 기타 필요한 처리를 한다.  타이어 코드 천, 벤딩(banding), 안감(lining) 등이 이 방법으로 가공된다


울리가공 [ woollie finish ] 

실의 가공법으로,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그 한가지는 텍스쳐사를 만드는 방법이고, 다른 한가지는 면과 같은 섬유를 요소 수지 등으로 수지 가공하여 양모와 같은 촉감, 탄성, 방추성 등을 주는 가공법을 말한다.

그러나 텍스쳐사로는 울리 나일론이 최초의 것이었기 때문에 가연, 해연법 또는 가연법에 의한 합성섬유의 가공을 울리 가공이라 부르게 되었다.

워시앤드웨어가공 [ wash and wear finish, W & W 가공 ] 

습윤 때 방추성, 내세탁성, 방축성 등이 향상되도록 한 가공.

워시 앤드 웨어(wash and wear)의 성질을 직물에 주기 위해서는 수지가공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워시앤드웨어 [ wash and wear ] 

세탁하여 바로 입을 수 있다는 뜻. 세탁하여도 빨리 마르며, 주름이나 구김이 거의 안 생기므로 다리미질을 할 필요가 없고 모양도 원상태로 잘 유지되는 성질을 말한다.

합성섬유는 이와 같은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 많으나 다른 섬유 제품에는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워시 앤드 웨어 가공을 행한다.

See easy-care.

위생가공 [ hygienic finish ] [衛生加工] 

직물의 방충(防蟲), 항균(抗菌)가공의 일종이다. 특히 직접 피부와 접촉하는 의류, 신발 등에 행하는 방충, 항균가공을 위생가공이라 부르고 있다. 여름철 내의류에는 땀에 의한 체취를 없애고, 구두에는 발냄새 이외에 무좀을 방지하는 것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유연가공 [ softening ] [柔軟加工] 

직물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가공법으로서 유연제와 같은 약품을 사용하는 방법과 기계적인 방법이 있다.

유연제로는 동․식물성 유지, 글리세롤 포도당과 같은 흡습제, 비누 기타 합성 계면활성제가 쓰인다. 기계적인 방법은 유포기, 또는 타포기로 직물을 비비거나 두들겨 유연성을 갖게 한다.


의마가공 [ imitation linen finishing ] [擬麻加工] 

면 직물의 특수 가공법으로, 마와 같은 외관과 촉감을 주는 가공.

그 방법에는 기계적으로 캘린더를 써서 dull finish 체스팅 등으로 효과를 내는 것과, 화학적 방법으로 젤라틴, 카제인, 아파라틴, 비스코스 등으로 섬유를 교착하여 마와 같은 촉감을 얻는 방법, 그리고 저온의 알칼리, 60% 정도의 황산 등으로 섬유 표면을 교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고축합의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쓰는 방법도 있다.

이지케어가공 [ easy care finish ] 

Wash & Wear성(W&W성)이라고도 함. 세탁해서 곧바로 입을 수 있다. 건조가 빠르고 구겨지지 않으며, 다림질이 필요없고, 치수의 안정성이 있다. W&W 가공은 수지가공의 하나이다.

⇒ 워시앤드웨어가공

이지케어 [ easy care ] 

합성 섬유나 면으로 만든 셔츠중 워시 엔드 웨어 가공을 한 것은 세탁 후에 다림질을 하지 않도록 된 것이 많다. 이처럼 손질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이지 케어라고 한다.


인터레이스가공 [ interlace finish ]

에어가공의 일종으로 특수한 노즐을 사용한다. 인터레이스 노즐 내에서는 공기유체가 필라멘트 축에 수직으로 충돌하는 동시에 평행한 난기류를 발생시켜 실의 장력에 따라 필라멘트속을 개섬시키고, 동시에 랜덤하게 혼합하는 효과가 있다. 혼섬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축면가공  

⇒ 크레이프가공


친츠가공 [ chintz finish ]  

친츠와 같은 직물에 풀 또는 합성수지를 부착시킨 후 프릭션 캘린더(friction calender) 같은 것에서 강한 광택을 갖도록 하는 가공을 말한다.

친칠라가공 [ chinchilla finish ] 

내핑 가공(napping finish)이라고도 하며, 기모 후 내핑기에 걸어 잔털을 구슬 모양, 물결 모양 등으로 만들어 특수한 외관을 나타내는 가공공정으로, 고급 후지 오버 직물에 사용되고 있다.

⇒ 내핑가공

캘린더가공 [ calendering ] 

캘린더링 또는 광내기라고도 한다. 모든 처리가 끝난 후에 직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해, 직물을 몇 개의 뜨거운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광택을 내는 공정. 롤러의 종류를 많이 하거나 열과 압력을 높일수록 광택이 많이 난다. 캘린더 가공에는 체이싱, 윤내기, 므와레 가공 등이 있다.

프릭션 캘린더링 [ friction calendering ] 

광내기機의 일종. 면, 마 직물에 고도의 광택을 부여하기 위하여 롤러의 마찰에 의해 광택이 생기게 하는 것으로서, 주로 3개 롤러를 이용한다. 윗부분의 롤러는 아랫부분의 롤러보다 지름이 작으며, 주철로 만든 가열 롤러이다. 중앙은 연성, 아랫부분은 주철로 만든 롤러이다.

이 롤러의 회전은 톱니바퀴 장치에 의하며 윗부분의 가열 롤러는 아랫부분의 롤러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이 속도는 천의 진행 속도보다 보통 30~70% 정도 빠르므로, 고도의 광택을 얻을 수 있다.


크레이프가공 [ crepe finishing ] 

직물표면에 주름이 나타나도록 하는 가공.

크레이프는 경사나 위사 또는 경․위사에 강연사를 사용한 것이며 주로 면, 견, 인견,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되나, 주름을 낼 때는 직물은 완전히 자유롭게 되어 있어야 하며 또한, 접힌 곳이 있으면 그곳이 그대로 고정되기 때문에 직물을 느슨하게 접어서 변사 부분을 실로 잡아매고 또는 느슨하게 감은 직물을 홍두깨에 통과시켜서 뜨거운 비누 용액에 30~60분간 침지한다.

주름을 낼 때 주름 모양의 엠보스 캘린더를 사용하면 세세한 주름을 낼 수 있다.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섬유는 강연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열 엠보싱으로서 내구성이 있는 크레이프 모양을 낼 수 있다.

가열 크레이프가공 [ fusion contraction shrinkage ] 

열 수축성이 다른 섬유를 교직하여, 이것을 가열하여 수축을 일으키는 방법


텍스쳐가공 [ texturizing ] 

합성섬유의 필라멘트사에 주로 기계적인 방법으로 크림프(crimp), 루프(loop), 코일(coil) 등과 같은 형태의 영구적인 굴곡을 부여하고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이를 열고정(heat set)시키는 가공.

텍스쳐드가공 [ textured finish ] 

텍스쳐드사를 제조하는 가공이다. 가연, 해연법, 가연법, 개량가연법, 충전법(압입법), 찰과법, 강연법, 부형법, 공기 분사법 등이 있다.

에어 텍스쳐드가공 [ air texturing ] 

압축 공기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고, 이로 인해 생긴 난류로 필라멘트를 엉키게 하여, 루프를 만드는 가공법이다.

특수가공 [ speial (functional) finish ]

유연 가공, 내화 가공, 광내기 가공, 경화 가공 등 보통 가공 외에 취미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가공이 행하여지고 있다. <나일론> 특수 가공으로는 방수 가공, 방화 가공, 오팔 가공, 용해 레이스 가공, 리플 가공, 엠보싱 가공, 텍스쳐 가공, 에버 플리츠 가공 등이 있다.

①방수 가공 : 통기성 방수로는 베란사 방수제 2~4%를 부착시키던가 규소 수지 등을 사용하며, 불통기성의 가공으로는 고무․비닐 등을 이용한다.

②방화 가공 : 방화 천으로는 유리 섬유 직물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나일론은 그 자신이 연소하지 않아 방화용에도 쓰인다.

③오팔 가공 : 인견사와 나일론사를 이용하여 오팔 가공을 하는 데에는 산성풀로 인견사를 용출하여 무늬를 만든다.

④용해 레이스 가공 : 인견 직물 위에 나일론사로 무늬를 넣고, 산화구리 암모니아 용액 등으로 레이온 직물을 다소 용출시키거나 나일론 직물 위에 견사 또는 양모사로 수를 놓아 나일론 직물을 일부 용출시키는 방법도 있다.

⑤리플 가공 : 나일론 직물 위에 팽윤제 혼입 풀로 날인하고, 날인 부분을 변색 또는 신축시켜 천의 면에 물결형을 만드는 가공.

⑥엠보싱 가공 : 나일론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연화점에 가까운 온도에서 국부적으로 직물을 가압하면 그 변형은 영구적이다.

⑦텍스쳐 가공 : 각종의 가공실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울리 가공을 예로 하면, 단 섬유의 집합으로 되어 있는 나일론사를 일정한 방향으로 꼬임을 준 후 열처리하고, 앞의 것 이상으로 역연하여 열처리 고정하면 양모와 같은 촉감이 나타난다.

⑧에버 플리츠 가공 : 나일론의 열가소성을 이용한 가공으로서, 직물에 작은 주름을 영구적으로 만들어 넣는 가공. 스커트에 응용되고 있다.

<면 직물> 면 직물의 특수 가공으로는 개질 가공이 있다. 이것은 방추 가공으로 등장한 가공이다. 습윤 때의 방추성, 물로 다리미질이 된다는 말은 기계적인 외력에 의하여 주름이 생긴 경우, 물이 들어가면 비결정 부분에 침투한 물에 의해 주름의 원인이 된 수소 결합이 물과의 수소 결합에 의하여 잘려버리기 때문에 건조할 때 주름이 없던 최초의 상태로 셀룰로스 분자 고리 사이에 수소 결합이 생겨 안정한 방추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수지 가공을 함께 하면 완전한 wash & wear성이 부여된다. 별명은 뉴코튼, 개질 면포, water iron cotton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면직물의 특수 가공으로서는, 발수가공, 방수가공, 방유가공, 방오가공, 방화가공, 슈라이너 가공(schreiner 가공), 리플가공(ripple 가공), 머서가공, 의마가공 등이 있다.

패드배치큐어가공 [ pad batch cure process ] 

불연속적 가공법의 일종이다. 패더로 처리액을 침윤시켜서 그대로 감고 회전시키면서 상온 또는 보온한 채로 일정한 시간 방치하여 가공을 완결하는 방법이다.

퍼머넌트세팅 [ permanent setting ] 

천을 내구성이 있는 평표면에 고정하거나, 의류에 내구성이 있는 주름을 주는 가공.

합성섬유 제품은 섬유의 열가소성을 이용하고, 면이나 레이온 제품은 반응형 수지를 이용해서 하며, 양모 제품은 시스틴 결합을 이용하여 가공한다.

양모 제품에 내구성이 있는 평표면을 고정하는 가공으로는 크래빙, 디커타이징 등이 있고 내구성이 있는 주름을 고정하는 가공으로는 시로셋 가공이 있다.

퍼머넌트 프레스 가공[permanent press finish, PP가공] 

PP가공이라고도 하며, 제품에 수지가공하여 고온 고압에서 열처리하면 다림질이 필요 없으며, 구겨지지 않고 주름잡은 것이 풀어지지 않게 하는 가공.

원단에 가공하는 경우와 반제품에 가공하는 경우는 예비 가공을 하고 제품화되어서 완전한 가공을 하든가, 제품이 된 다음 행하는 방법 등이 있다.

→ See durable press.

퍼머넌트 플리츠 [ permanent pleats ] 

스커트, 바지 등에 내구성이 있는 주름을 잡는 것을 말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①합성섬유의 열고정을 이용하는 것. 이때 50%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섬유가 혼용되어 있을 것. ②면직물은 요소 또는 멜라민 수지가공에 의하여 고정. ③모직물은 티오글리콜산 암모늄의 묽은 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증기 프레스하는 시로셋 가공을 한다.

페블효과직물 [ pebble-effect fabric ]

크레이프(crepe) 직물 및 꼬임을 준 실을 조합하여 조성한 직물에서 볼 수 있는 불규칙하고 거칠은 화강암 모양의 표면 효과를 페블효과하고 한다.

이 페블 효과는 크레이프 조직 직물, 크레이프 직물 및 강하게 꼰 경사와 위사로 조성된 직물이 특히 눈에 띄게 된다.

페블 효과는 정확한 직물 구조에서 실에 꼬임을 주는 꼬임수와 꼬임의 종류에 의해 생기게 된다. 페블 효과는 모직물, 면직물 및 인조섬유 직물에 이상적이다.

프레스가공 [ press finishing ] 

섬유 완제품의 정리 가공법의 일종이다. 이것은 스웨트, 드레스, 타이츠 등의 성형니트 제품을 필요한 틀에 넣은 상태로 스티밍하여 형태를 고정시키는 가공법이다.

플라넬가공 [ flannel finish ] 

기모 또는 축융가공을 말한다. 기모는 면, 스프 직물에 응용되고, 축융은 모직물에 쓰인다. 두 경우 모두 플라넬의 특징적인 표면의 태를 만든다.

플록가공 [ flock finish ] 

섬유를 짧게 잘라 만든 것을 천 표면에 주로 고압 정전기를 이용하여 식모하고 접착제로 고착하는 가공.

플로킹 [ flocking ] 

섬유를 짧게 잘라 만든 잔털을 천의 면에, 주로 전착식모법에 의해 고착해 주는 가공. 전착가공은 플록 가공이라고도 하며, 바탕 천에 유연하고 내수성이 있는 접착제, 예를 들면 천연고무, 합성고무 라텍스, 폴리초산비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수지 등을 도포하여, 여기에 0.1~5㎜ 정도로 가늘게 끊은 각종 짧은 섬유(flock)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식모하는 가공으로서, 피가공물의 표면을 벨벳상 또는 응모피상이 되게 한다. 무늬를 식모하는 식모날염과 전면을 식모하는 플록코팅이 있다.

피치스킨 가공[ peach skin finish ] 

평직으로 제직된 직물로서, 복숭아 털과 같은 촉감을 갖도록 한 가공.


흡수가공 [ water absorbent finishing ] [吸收加工] 

일반적으로 흡수가공이란 합성섬유의 편성물이나 직물에 모세관을 통해서 물방울의 확산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으로 섬유자체의 본질적인 흡수성과는 무관하다.

흡수성 향상의 이점은 속옷의 경우 땀을 빨아들이기 쉬워 끈적끈적하게 붙지 않으며, 다소의 대전방지능도 부여되며 세탁이 쉽고, 재오염이 적어져 피복의 촉감이 개선된다는 것이다.

흡수가공 방법을 크게 분류하면 ⑴ 섬유중에 친수성의 화합물을 혼합 첨가하는 방법, ⑵ 섬유를 직접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는 방법, ⑶ 섬유를 친수성 화합물로 피복하는 방법 등이 있다.

히트셋트 [ heat set ] 

열고정이라고도 하며, 열가소성 섬유를 열처리하여 제품의 형태를 안정화시키는 것

출처 : 원단섬유직물쟁이들의 모임
글쓴이 : 월리스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