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창고·´″°³оΟ♡/패션♡기능성자료

[스크랩] 원단설계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2. 3. 30.

실제설계

설계의 종류

①제시된 직물 견본과 동일한 직물의 설계
②제시된 견본의 일부 규격을 변경한 설계
③설계자의 창의력를 바탕으로 한 자유설계

설계의 중요성

①직물제조원가를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
②제품품질 및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설계 품질
③오더 전체의 품질 사고로 인한 설계 착오

설계 검토

설계는 상품기획, 메인 설계, 생산기획, 생산, 시험검사, 판매기능과 밀접하게 연결된 업무이다. 
회사에 따라 단순히 제직 작업지시서만 작성하는 일도 있지만, 원료에서부터 영업까지 업무범위가 
확장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주단계에서부터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다음은 설계시 고려할 
사항이다.

①보유설비 및 기술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 여부 판단
②수주한 제품이 생산과정에서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 예측 및 대책수립
③제품생산시 병목(neck)공정 파악 및 공정 밸런스 검토
   (필요시 품종별 공정재고의 한계선 관리 및 공정능력 설정)
④납기준수를 위한 효율적 생산방법 검토
⑤제품 생산경로(routine)의 검토 및 결정
⑥원가와 판매가의 검토 및 최소원가 제조방법 검토
⑦시험검사 요건의 검토 및 대처(특히 제품과 검사규격의 모순)
⑧제품품질 및 규격의 변동이 있는 경우
⑨위의 사항들을 검토하여 생산여부를 결정

경,위사 번수의 결정

분해견본을 통해 측정한 번수는 측정오차 등에 의해 원래 제품에 사용한 번수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분해사와 동일한 번수의 실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계 된다. 
따라서 사의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면 번수의 변경이 불가피하므로 번수와 관련된 설계인자를 고려한다. 또한 번수는 중량(밀도와 Loss 포함))과 연계하여 검토를 한다.

직물폭

폭결정은 직물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이며 최종 가공제품의 품질과 관계하는 인자이다. 
통상의 폭에는 성폭, 생지폭, 가공폭이 있다. 가공축율을 감안해서 생지폭은 얼마가 되어야 하고 
이 생지폭을 얻기 위한 성폭은 얼마로 결정하느냐가 문제이기 때문에 성폭결정이 중요하다. 
직상 경사밀도를 증가하려면 그만큼 성통폭을 감소시켜야 한다. 즉 경사밀도와 위사밀도가 같은 
정방형의 직물이 아니고 경사밀도가 위사 밀도보다 큰 경우(예를 들어 개버딘)에는 위사의 축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 양만큼 성폭을 줄여 주어야 한다.

     성통폭 = 지사 폭 + 변사 폭 = 총경사본수 ÷ 경사밀도

밀도

일반적으로 직물의 밀도는 생산성과 품질 등을 이유로 경사밀도를 위사 밀도보다 크게 하고 있다. 
즉 위사밀도를 일부 빼고 그만큼 경사밀도를 늘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경,위사와 밀도계수가 
동일하다면 계산 밀도 값을 바디 번수와 통입본수에 맞추어 가면서 몇 퍼센트 정도 경사밀도를 
올려주고 위사밀도는 해당 경사본수 만큼 뺀다. 예를 들면 계산밀도가 62본인 2/2 능직을 4본통 
작업시 16바디를 사용(직상 경사밀도 64본)하고 총밀도 124본에서 64본을 뺀 60본을 직상 위사밀도로 한다. 이외에 경사밀도나 위사밀도가 다른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품종들이 있으며, 이들 품종들은 특수한 밀도계산방법을 사용한다. 밀도가 큰 방향과 적은 방향의 비를 밀도비(α)라고 한다. 

일반적인 직물조직의 밀도비는 1.03∼1.07정도이다. 개버딘(Gaberdine)의 밀도비는 1.3∼1.65, 
경사와 위사의 밀도차이가 약 2배일 (밀도비 1.6)때 외관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평가한다(단, 뜀수1). 
위사밀도가 큰 비버(Beaver)직물의 밀도비는 1.5수준이다.

개버딘 경사밀도 = 정방형 직물 계산밀도 × 밀도비

                              정방형 직물계산밀도 × √정방형직물계산밀도
개버딘 위사밀도 = ----------------------------------------
                                                √개버딘경사밀도

비버 위사밀도 = 정방형 직물 계산밀도 × 밀도비

                          정방형 직물계산밀도 × √정방형직물계산밀도
비버 경사밀도 = ---------------------------------------
                                               √비버위사밀도

그 외에 경사보다 가는 위사를 사용한 직물의 경우에는 위사밀도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원가측면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경사와 위사밀도를 같은 수준으로 하거나 약간 올려준다.

축율

직물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축율은 원사생산 단계에서의 축율, 직축율 그리고 가공축율이 있다. 
또한 축율은 이론적인 계산방법과 경험치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축율계산의 문제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공정의 변수가 많으며 가공축율은 계산이 
아니라 가공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1) 염축

사염을 실시할 때 염색에 의해 사가 수축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수축 정도는 원료와 사의 규격에 따라 다르며 어느 정도의 수준을 넘게되면 설계시 이를 감안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생산 
데이터를 통해서 관리를 한다.

                     염색전 실길이 - 염색후 실길이
염축율(%) = ---------------------------- × 100
                            염색전 실길이

(2) 연축

연축은 연사에 의해 사가 원래길이에서 줄어든 양을 말한다. 단사는 꼬임수에 비례하고 합사의 
경우에는 상연과 하연의 방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연사 작업조건에 따라서도 연축율 변화가 나타나며 일부 세섬도 방적사의 경우에는 설비와 작업조건에 따라 연축이 발생하지 않거나 
늘어나기도 한다.

                     연사전 실길이 - 연사후 실길이
연축율(%) = ---------------------------- × 100
                                연사전 실길이

(3) 직축

직축은 제직에 의해 직선상태의 경위사의 길이가 얼마나 수축하는가를 나타낸다. 
직축은 무장력 생지상태에서 측정하며, 경위사의 교착구조에 의해 결정되지만 경사준비 및 제직공정의 장력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다음은 축율을 계산하거나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일부 방법들이다.

                     성톡폭(또는 길이) - 생지폭(또는 길이)
직축율(%) = --------------------------------- × 100
                                    성통폭(또는 길이) 

  1) 직경과 밀도를 이용한 계산방법
    경직축율 = aX2 × bX ? c
     단, X = 10/2×(경사직경?위사직경)?(경사밀도?위사밀도)

표3-2 조직별 축도계수

 

a

b

c

평직

0.129

-0.806

3.39

1/2능직

0.079

-0.306

1.69

2/2능직

0.079

-0.834

6.50

1/3능직

0.021

-0.291

12.16

경5매주자직

0.0111

0.156

3.64

위5매주자직

0.016

0.04

2.10

피케(Pique)

0.0067

-0.584

5.36

표3-3 경위사 밀도비에 따른 위사축율

위사밀도
경사밀도(%)

평직

능직

5매
경주자

5매
위주자

태능

세능

1/3

2/2

50 - 60

3.5

6.0

5.5

5.5

6.0

5.5

-

61 - 70

5.0

7.0

6.0

5.5

6.0

5.5

-

71 - 80

6.7

7.0

6.0

5.5

6.5

6.5

-

81 - 85

7.5

7.5

7.0


6.5

6.5

-

86 - 90

7.5

7.5

7.0


7.5

7.5

-

91 - 100

8.5

7.5

7.0


7.5

7.5

7.0

  2) 직경, 밀도 및 조직을 이용한 계산방법

(4) 가공축

가공축율은 소재 및 사의 특성, 가공방법에 따라 달라지므로 경험에 의한 축율을 사용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축율로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습식가공을 완료한 후 건조기 타입전의 탈수폭은 
관심을 가져야 할 중요 요소이다. 텐터에서의 과다한 폭 수축과 증가는 최종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주요원인이 설계에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사항이다.

                        생지폭(또는 길이)-가공폭(또는 길이)
가공축율(%) = --------------------------------- × 100
                                   생지폭(또는 길이)

로스(Loss)

로스는 공정별로 구분하며 작업방법 및 생산설비에 따라 달라진다. 업체에 따라서는 품종별 품질 
데이터를 기준으로 불량율을 감안하여 로스를 산정하여 생산에 이를 반영하기도 한다.

①사제조 로스
②제직 로스
③가공 로스

조직, 배열 및 통순

조직, 배열 및 통순은 3위일체가 되어야하며 서로 공배수개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중 한가지를 
변화시키면 나머지 인자도 동시에 바꿔 주어야 한다.

(1) 조직

분해견본의 조직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나 조직을 만든 경우에는 조직이 제직품질이나 최종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내재되어 있는가를 면밀히 검토한다. 일반적인 조직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변화조직이나 특수조직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한다.

①가공과정에서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부분적인 긴 부출점이 있는가를 확인한다.
②특정조직점이 부근의 조직점에 의하여 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가를 확인한다.
③일완전조직 내에 조직계수의 차이가 큰 조직이 혼용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2) 배열

단지 경,위사 배열만으로는 의미가 없으며 앞서 언급하였다시피 조직과 연계하여 검토한다. 
무지를 제외한 스트라이프나 체크직물은 시작 조직점과 배열순서에 따라 디자인의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3) 통순

통순은 작업의 편리성과 품질측면에서 검토한다. 즉 사용할 종광매수, 종광별 사의 분배, 종광번호별 통경할 사종, 통경의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센터링(Centering)

배열물의 경우에는 직물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을 접었을 때 무늬가 겹쳐야(즉 대칭) 한다. 
또한 단색(solid color)일지라도 조직에 의한 스트라이프나 체크 효과가 있는 경우에는 
중심(center)을 잡아서 통순과 배열을 이동시켜 주어야 한다. 먼저 센터로 사용할 경사(본수)를 
정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데코레이션 얀(Decoration yarn), 디자인 효과가 강한 실, 일정구간의 
본 수를 센터 본 수로 잡은 후 다음방법에 의해 계산한다.

                                 총경사본수                                   R-중심본수(C)
나머지 본수(R) = -----------------  , 이동본수(M) = ----------------
                             배열(조직)1repeat                                    2

R = 0일 때 → 1 repeat를 2로 나눈 본 수를 이동
R < C일 때 → R+1 repeat를 2로 나눈 본 수를 이동
R > C일 때 → 결과 값을 2로 나눈 본 수를 이동

변사조직

변사조직은 그라운드 조직과 조직계수가 유사하여야 변사부분의 당김 및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조직은 제직시 템플 장력과 가공시의 텐터장력에 충분한 내구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터킹-인(tucking-in) 변사는 변사의 밀도가 2배가되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감안하여 조직 및 
통입본수를 고려한다.

종광

일정 폭의 종광에 통입할 수 있는 실 본 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종광의 수를 변경시켜 줄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종광매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경사번수로 계산하는 방법과 경사밀도로 
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광계산시 고려해야 하는 또 하나는 소재나 실 형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의한다.

1야드(36인치)당 종광한계본수 = k × 0.9144 × √Nm
(k : 모직 75∼90, 면직 100, 필라멘트 100∼120)
이 값과 사용하고자 하는 종광매수를 비교하여 종광을 늘리거나 줄인다.

성통

바디의 성통법과 바디살에 끼우는 통입본수는 견본의 조직에 따라 다르다. 
즉 일 완전조직과 조직내의 경,위사 부출상태에 따라 다르며, 가장 중요한 것은 품질에 악영향
(바디흠 또는 자국, 인접 경사간의 위치 이동)을 미치지 않게 하면서도 성통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이다. 한 개의 바디살에 끼우는 경사수는 조직에 따라 일 완전조직의 본 수를 통입하는 방법 및 일 완전조직의 특정 본 수로 끊어 통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①가공후 직물에 품위를 손상시키는 바디 살 흔적을 남기지 않도록 한다.
②바디의 공극이 통입된 실의 면적에 대해 여유공간을 갖게 하도록 한다.
③조직이나 배열이 통입본수 및 통순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설계서 작성원칙

같은 직물을 생산하는 설계서 일지라도 설계자에 따라서 설계서 작성방법이 다르다. 그러나 설계서 작성방법은 기준 또는 원칙이 있어야 제삼자가 확인하거나 설계심사시 용이하다. 다음은 설계서를 
작성하는 원칙이다.

①색사 배열의 경우 경사는 밝은 색상부터 위사는 어두운 색상부터 배열한다.
②경,위사 사종이 많은 경우 실 번호는 그라운드사에서 장식사 순서로 한다.
③조직도는 첫 번째 경사조직이 부출 되도록 작성한다.

설계심사 및 검증

설계 후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을 검사하고 심사한다.

①설계계산의 착오여부 확인한다.
②디자인이 맞는지의 확인한다.
③지시된 작업공정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한다.

원사소요량 산출과 밀도변경

이상의 분해자료에 대해서 경사소요량 및 위사소요량을 계산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공식을 쓰고 있다.

(1) 면직물

①총 경사본수 = 경사밀도×폭 + 변사수
  단, 변사수는 폭 38" 미만은 16본, 38"이상은 20본으로 한다.
②폭 = 공칙폭+0.25
③길이 = 공칭길이×(1+0.01)
④경축도 = Y(표 ①∼⑥참조)
  단, X = 10/2{(dt+dw) × (DT+DW)}
  dt = 경사직경(1/√26.2에서 산출)
  dw =위사직경(1/√26.2에서 산출)
  DT = (인치간) 경사밀도, DW = (인치간) 위사밀도

   3) 축도 일람표

① 평직경축도                                         Y = 0.129X2 - 0.806X + 3.39

X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5

2.6

2.6

2.7

2.8

2.8

2.9

2.9

3.0

3.1

3.1

6

3.2

3.3

3.4

3.4

3.5

3.6

3.7

3.8

3.9

4.0

7

4.1

4.2

4.3

4.4

4.5

4.6

4.7

4.8

5.0

5.1

8

5.2

5.3

5.5

5.6

5.7

5.9

6.0

6.1

6.3

6.4

9

6.5

6.7

6.9

7.1

7.2

7.4

7.5

7.7

7.9

8.1

10

8.2

8.4

8.6

8.8

9.0

9.2

9.3

9.5

9.7

9.9

11

10.1

10.3

10.5

10.8

11.0

11.2

11.4

11.6

11.8

12.1

12

12.3

12.5

12.8

13.0

13.2

13.5

13.7

14.0

14.2

14.5

13

14.7

15.0

15.2

15.5

15.8

16.0

16.3

16.6

16.8

17.1

14

17.4

17.7

18.0

18.2

18.5

18.8

19.1

19.4

19.7

20.0

15

20.3

20.6

20.9

21.3

21.6

21.9

22.2

22.5

22.9

23.3

② 2/1능직경축도                                      Y = 0.079X2-0.306X + 1.69

X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5

2.1

2.2

2.2

2.3

2.3

2.4

2.5

2.5

2.6

2.6

6

2.7

2.8

2.8

2.9

3.0

3.0

3.1

3.2

3.3

3.3

7

3.4

3.5

3.6

3.7

3.8

3.8

3.9

4.0

4.1

4.2

8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9

5.3

5.4

5.6

5.7

5.8

5.9

6.0

6.2

6.3

6.4

10

6.6

6.7

6.8

6.9

7.1

7.2

7.3

7.5

7.6

7.7

11

7.9

8.0

8.2

8.3

8.5

8.6

8.8

8.9

9.1

9.2

12

9.4

9.6

9.7

9.9

10.0

10.2

10.4

10.5

10.7

10.9

13

11.1

11.2

11.4

11.6

11.8

12.0

12.1

12.3

12.5

12.7

14

12.9

13.1

13.3

13.5

13.7

13.9

14.1

14.3

14.5

14.7

15

14.9

15.1

15.3

15.5

15.7

15.9

16.1

16.4

16.6

16.8

16

17.0

17.2

17.5

17.7

17.9

18.1

18.3

18.5

18.8

19.1

③ 2/2능직경축도                                      Y = 0.079X2-0.834X + 6.50

X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5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6

4.4

4.5

4.5

4.5

4.5

4.5

4.5

4.6

4.6

4.6

7

4.6

4.7

4.7

4.7

4.8

4.8

4.8

4.9

4.9

4.9

8

5.0

5.0

5.1

5.1

5.2

5.2

5.3

5.3

5.4

5.4

9

5.5

5.6

5.6

5.7

5.7

5.8

5.9

5.9

6.0

6.1

10

6.2

6.2

6.3

6.4

6.5

6.6

6.6

6.7

6.8

6.9

11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12

8.0

8.1

8.2

8.3

8.4

8.5

8.6

8.8

8.9

9.0

13

9.1

9.2

9.4

9.5

9.6

9.7

9.9

10.

10.1

10.2

14

10.4

10.5

10.7

10.8

11.0

11.1

11.3

11.4

11.6

11.7

15

11.9

12.0

12.2

12.3

12.5

12.7

12.8

13.0

13.1

13.3

16

13.5

13.7

13.8

14.0

14.2

14.3

14.5

14.7

14.9

15.0

④ 1/3능직경축                                              Y = 0.021X2-0.291X + 12.16

X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1

11.5

11.5

11.5

11.6

11.6

11.6

11.6

11.6

11.7

11.7

12

11.7

11.7

11.7

11.8

11.8

11.8

11.8

11.9

11.9

11.9

13

11.9

12.0

12.0

12.0

12.0

12.1

12.1

12.1

12.1

12.2

14

12.2

12.2

12.3

12.3

12.3

12.4

12.4

12.4

12.5

12.5

15

12.5

12.6

12.6

12.6

12.7

12.7

12.7

12.8

12.8

12.8

16

12.9

13.0

13.0

13.0

13.0

13.1

13.1

13.2

13.2

13.2

17

13.3

                  

⑤ 경5매주자경축도                                      Y = 0.0111X2 + 0.156X + 3.64

X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9

5.9

6.0

6.0

6.1

6.1

6.1

6.2

6.2

6.2

6.3

10

6.3

6.4

6.4

6.4

6.5

6.5

6.5

6.6

6.6

6.7

11

6.7

6.7

6.8

6.8

6.9

6.9

6.9

7.0

7.0

7.1

12

7.1

7.2

7.2

7.2

7.3

7.3

7.4

7.4

7.5

7.5

13

7.5

7.6

7.6

7.7

7.7

7.8

7.8

7.9

7.9

8.0

14

8.0

8.1

8.1

8.1

8.2

8.2

8.3

8.3

8.4

8.4

15

8.5

8.5

8.6

8.6

8.7

8.7

8.8

8.8

8.9

8.9

16

9.0

9.0

9.1

9.1

9.2

9.2

9.3

9.3

9.4

9.5

17

9.5

                 

⑥ 위5매주자경축도                                           Y = 0.016X2 + 0.04X + 2.90

X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9

4.6

4.6

4.6

4.7

4.7

4.7

4.8

4.8

4.8

4.9

10

4.9

4.9

5.0

5.0

5.1

5.1

5.1

5.2

5.2

5.2

11

5.3

5.3

5.4

5.4

5.4

5.5

5.5

5.6

5.6

5.6

12

5.7

5.7

5.8

5.8

5.9

5.9

5.9

6.0

6.0

6.1

13

6.1

6.2

6.2

6.3

6.3

6.4

6.4

6.5

6.5

6.6

14

6.6

6.7

6.7

6.7

6.8

6.8

6.9

7.0

7.0

7.1

15

7.1

7.2

7.2

7.3

7.3

7.4

7.4

7.5

7.5

7.6

16

7.6

7.7

7.8

7.8

7.8

7.9

8.0

8.0

8.1

8.2

17

8.2

                 

                                                                               DW
⑦ ~ ⑪ 위축도 일람                                         (% = ----- )
                                                                                DT

표 7

표 8

표 9

표 10

표 11

%

평직

%

태능

세능

1/3

%

2/2

%

경5매

%

위5매

60이하

3.5

65이하

6.0

5.5

5.5

70이하

6.0

70이하

5.5

70이하

7.0

61∼70

5.0

66∼80

7.0

6.0

71∼85

6.5

71∼85

6.5

71∼85

71∼80

6.5

81이상

7.5

7.0

86이상

7.5

86이상

7.5

86이상

81∼90

7.5

                    

90이상

8.5

                   

(2) 합섬 Filament 직물

  1) 경사소요량(g/y)
        총경사본수×경사번수×길이×직축율×(1+경사Loss)×(1+연축율)×36×2.54
      = -------------------------------------------------------------
                                            9000 × 100

  2) 위사소요량(g/y)
         위사밀도/in×위사번수×성폭×길이× (1+위사Loss)×(1+연축율)×36×2.54
       = ------------------------------------------------------------
                                           9000 × 100

(3) 모직물

  1) 경사소요량(g/y)
       총경사본수×길이×(1+경축도)×(1+경사Loss)×36×2.54
    = -----------------------------------------------
                           경사번수(Nm) × 100

  2) 위사소요량(g/y)
       위사밀도/in×성폭×길이×(1+위축도)×(1+위사Loss)×36×2.54
    = ---------------------------------------------------
                           위사번수(Nm) × 100

(4) 직물의 번수와 조직을 변경할 때 밀도 계산방법

                     
변경밀도계수       √변경번수       변경조직계수
구하는 밀도 = ------------ × ----------- × --------------
                      원래밀도계수       √원래번수       원래조직계수

(5) 실 번수로 견본의 중량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실 번수 계산 방법

                                    원래중량
구하고자 하는 번수 = ( ---------- ) 2 × 원래번수(Nm)
                                    변경중량

직물의 중량계산

(1) 면직물

① 경사중량(g/yd)
= 경사1올 중량 × 총경사본수×(1+경사직축율)
         453.6
 = --------------- × (밀도/in×직물폭+변사) × (1+경사직축율)
       840 × 경사번수

② 위사중량(g/yd)
= 위사1올 중량 × 총위사본수 × (1+위사직축율) × 직물폭
          453.6
 =  ------------- × (밀도/in x 36) × (1+위사직축율) × 직물폭
    840 × 위사번수

③ 직물중량(g/yd)

= 경사중량 + 위사중량

(2) 필라멘트 직물

①경사중량(g/yd)
= 경사1올 중량 × 총경사본수 × (1+경사축율)
     경사번수×36×2.54
= ------------------- × (밀도/in×직물폭+변사) × (1+직축율) × (1+연축율)
         9,000 × 100

②위사중량(g/yd)
= 위사1올 중량 × 총위사본수 × (1+위사축율) × 직물폭
    위사번수×36×2.54
= ------------------ × (밀도/in×36) × (1+직축율) × (1+연축율) × 직물폭
       9,000 × 100

③직물중량(g/yd)
 = 경사중량 + 위사중량

(3) 직물중량(g/y) 측정방법(KS K 0514)
       시험편 무게(g) × 직물폭(㎝)
 = -------------------------- × 0.9144 × 100(㎝)
                시험편 넓이(㎠)

출처 : Wel Come To SUNGSAN Textile
글쓴이 : chun-sa-rang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