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창고·´″°³оΟ♡/패션♡봉제공부

현장 봉재용어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3. 10. 24.

간도메
일본어. 여러 번 되박아 튼튼히 고정시키는 것. 영어로는 bar tack.  

→ 겐보로

일본어. 소매의 덧단(단자쿠)을 말함. 영어로는 sleeve placket.  

→ 고로시
일본어. 현장용어. (봉제선) 밀어넣기.
카라, 앞단, 소매단의 가장자리 봉제선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안쪽 단을 약간 안쪽으로 밀어 넣는 것을 말함.   

→ 고시
일본어. 옷감의 감촉을 나타내는 말로서,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있는 옷감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또는 카라의 안쪽에 안단을 대어 약간 세워준 부분을 의미하기도 한다(카라 고시). 영어로는 stiff touch 혹은 collar stand, stiff collar.    

→ 고어드 스커트/gored skirt
스커트의 아래단을 넓게 하기 위해 삼각형 또는 끝을 약간 잘라낸 삼각형의 천조각을 이어 만든 플레어 스커트를 말한다. 고어는 폭을 넓히기 위해 의복이나 우산에 넣는 삼각형의 천을 말한다.   

→ 깨끼
한국어. 한복에서 여름용 옷감을 곱솔로 박고 시접을 모두 잘라서 만드는 여름 옷 제작방법을 말한다

 

→ 나나이치
일본어. 재봉틀 71종으로 만든 일자형 단추구멍.나나인치는 와전된 것임.   

→ nappa/납바
무두질한 (새끼)양의 가죽. 장갑, 의복의 소재로쓴다. 좁게 잘라 암홀이나 소매끝에 붙인다.현장에서는 원단을 이용하여 비슷하게 처리하는 것도 납바처리한다고 한다. 

→ 노바시
일본어. 늘리기. 줄임 또는 다트(dart)식으로 하지 않고 다리미나 프레스로 옷감을 늘여서 입체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함. 늘리기를 하는 대표적인 부분으로는 소매의 앞솔기, 길의 어깨 앞쪽과 옆구리, 바지의 앞뒤솔기 등이 있다. 

 

→ 다꼬
일본어. 보강천, 테이프, 탄력 밴드 등을 부착할 때 여러 개의 스티치를 동일한 간격으로 박아주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 쓰이는 미싱을 다꼬미싱이라 한다.    

→ 다테/다데
일본어. 원 의미는 세로 방향이다. 현장에서는 다테이토의 약자로 사용되며 옷감의 날실을 가리킨다.  

→ 뎅깡
일본어. 여러 색상의 선염사를 섞어서 짠 환편니트(다이마루)로서 굵고 가는 선무늬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 단자쿠
일본어. 덧단. 트임부분에 댄 덧단을 말함. 트임부분을 보기 좋게 하고 보강하기 위해 사용한다

 

→ 마도메
일본어. 미싱으로 하는 봉제작업 완료 후 손으로 하는 모든 마감처리를 말한다. 단처리, 단추부착, 장식물 부착, 실밥제거 등 마무리 작업을 총칭한다.  

→ 무카데
일본어. 주머니 안쪽 몸판부위의 제 원단으로 된 부분을 말한다. 주머니 안쪽의 안감이 보이지 않게 해준다.   

→ 미까시/미카시

미카에시의 오기임.  

→ 미쯔마끼/미츠마끼

일본어. (끝) 말아밖기.   

→ 미카에시

일본어. 안단. 가슴 앞단, 목둘레, 소매둘레, 소매부리 등의 안쪽 처리에 쓰이는 천. 별도로 제작된 안단을 쓰기도 하고 겉감에서 이어지게 할 수 도 있다. 영어로는 facing interfacing

 

→ 벨크로 일명 찍찍이. 양쪽 원단에 암수 조각을 각각 붙인 뒤 간편히 두개를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조그만 합성수지 털조각. Velcro.   

→ 비죠 일본어. 조름단. 윗도리, 조끼, 바지 등의 뒤쪽 가운데나 허리부분, 또는 소매끝에 다는 조름단을 말한다. 영어로는 tab

 

→ 사시 일본어. 현장용어. 패딩을 넣을 때 겉감이나 안감과 함께 누비지 않고 패딩의 가장자리를 손으로 살짝 떠서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 사이바 일본어. 옆선의 통판을 말함. Side panel을 일본식으로 줄여 만든 용어.   

→ 샤 일본어. 뻣뻣한 망사원단을 말한다. 영어로는 stiff mesh.  

→ 시다마이 일본어. 현장용어. 앞단(섶)의 안쪽 단(섶). 상의나코트의 앞 여밈 또는 앞단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섶을 말한다. 겉쪽으로 나오는 섶은 우와마이라고 한다. 마이는 마에가 와전된 것이며 자켓이라는 뜻이다.   

→ 시보리 일본어. 편물단. 편물조리개. 소매나 깃 또는 밑단에 사용되는 편물을 말한다

 

→ 아플리케 자수 원단을 면으로 이용한 자수법을 말한다. 보통자수는 실만 사용하므로 넓은 면을 처리하기 곤란한데, 넓은 면은 원단을 사용하고 가장자리만 자수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 요꼬 일본어. 횡편니트.   

→ 요루(지) 일본어. 현장용어. 직조방법이나 조직, 가공 등에 의해 표면에 작은 요철 또는 주름이 불규칙하게 만들어진 원단을 말한다. 영어의 crinkle과 거의 동일한 의미이다.   

→ 우와마이 일본어. 현장용어. 앞단(섶)의 바깥쪽 단(섶). 상의나 코트의 앞 여밈 또는 앞단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섶을 말한다. 안쪽에 위치하는 섶은 시다마이라고 한다. 마이는 마에가 와전된 것이며 자켓이라는 뜻이다.   

→ 이세 일본어. 홈줄임. 오그림. 바느질선의 길이와 천의양을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 즉 곱게 홈질하거나, 박아서 실을 잡아당겨 조직을 조밀하게 함으로써 옷감을 입체화시키는 방법이다. 소매를 달 때 소매산을 높이거나 스커트의 허리단을 달 때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영어로는 ease

 

→ 진동(둘레)  겨드랑이에서 소매와 어깨가 이어지는 부분, 또는 그 둘레. 영어로는 arm hole

→ 카부라 일본어. 접단. 소매부리나 바지부리의 접어올린 부분.영어로는 turn-up cuffs

→ 해리 일본어. 시접을 오버록이나 삼봉으로 처리하지 않고 바이어스 테이프나 안감 등으로 덮어 씌우고 박는 것을 말함. 고가품에 적용되는 고급봉제법이다.  

→ 헤라시 knit에서 원단에 옷본을 대고 재단하지 않고 옷본 형태로 짜기 위해 코를 줄여 나가는 것을 말한다.헤라시하여 짠 각각의 판을 연결하면 연결부위 양쪽으로 "ㅅ"자형 무늬가 나타난다.  

→ 호시누이 일본어. 호시라고도 함. 숨은 상침을 말한다.박음질과 비슷한 데, 뒤로 돌아와 땀을 뜰 때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두세올 정도만 땀을 뜨는 것. 영어로는 prick stitch.  

→ 후라시 일본어. 현장용어. 들림. 박음선 또는 일정부분 까지 원단이 들리도록 처리하는 봉제방법, 또는 들리도록 만든 부분.  

→ 히까리/히카리 다림질시 온도를 너무 높게 하거나 과도하게 누름으로써 원단 표면이 손상되면서 번들거림이나 눌림자국이 보이는 것을 말한다.  

→ 히요쿠
일본어. 현장용어. 숨은 단추 처리부분. 코트나 바지 앞쪽에 단추나 지퍼를 가리게 만든 가늘고 긴 부분을 말함. 절개없이 만드는 것이 placket과 다르다. 영어로는 fly placket, fly front.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