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창고·´″°³оΟ♡/패션♡패턴공부

패턴의 기초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7. 11. 12.

패턴 기초

 

1. 패턴 공학 및 의복구성학 전공 기초

■ 패턴제작 및 활용

 

1. 의복구성이란?

  옷을 만드는 일로 디자인, 제도, 재단, 봉제의 전 과정을 총칭한다.

 

2. 원형의 제도 방법

  ① 단촌식 제도 방법 : 인체의 각 부위를 세밀하게 계측하여 제도하는 방법

 

 

  ② 장촌식 제도 방법 : 인체 부위 중 대표 부위의 치수를 기준으로 다른 부위를 계산해

 

 

                        제도하는 방법

 

 

3. 기본 원형의 종류

 

 

  ① 길원형

 

 

  ② 소매원형

 

 

  ③ 스커트 원형

 

 

4. 패턴 제작시 필요치수

 

 

  ① 길원형 : 가슴둘레, 등길이

 

 

  ② 소매원형 : 진동둘레, 소매길이

 

 

  ③ 스커트 원형 :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엉덩이길이, 스커트길이

 

 

  ④ 바지원형 :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밑위길이, 바지길이

 

 

5. 다트의 역할

 

 

  ① 평면을 입체화시키는 역할

 

 

  ② 기능적인 역할

 

 

  ③ 장식적인 역할

 

 

6. 길원형 다트의 방향

 

 

  ① 앞길은 B.P점

 

 

② 뒷길은 견갑골 튀어나온 곳

 

 

7. 다트 머니퓨레이션(dart manipulation)이란?

 

 

  기본 다트를 접고 다른 위치를 절개하여 다트, 턱, 개더 등으로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

 

 

8. 소매의 구성

 

 

  ① 길에 소매를 다는 형(set-in-sleeve)

 

 

  ② 길과 소매가 연결된 형

 

 

     ㆍ래글런 슬리브

 

 

     ㆍ요크 슬리브

 

 

     ㆍ기모노 슬리브

 

 

     ㆍ프렌치 슬리브

 

 

9. 소매산과 소매폭

 

 

  소매산이 높을수록 소매폭이 좁다.

 

 

10. 스커트 길이의 분류는 무릎을 기준으로 한다.

 

 

  세미 타이트 스커트 : 히프라인에서 수직으로 내려간 다음 옆으로 2~3cm 정도 나가

 

 

                      제도한 스커트 

 

 

11. 플랫 칼라 그룹

 

 

  피터팬 칼라, 퓨리턴 칼라, 스테인 칼라, 케이프 칼라 등

 

 

12. 스탠드 칼라 그룹

 

 

  스탠드(차이니스) 칼라, 셔츠 칼라, 나폴레옹 칼라 등

 

 

13. 테일러드 칼라 그룹

 

 

  숄 칼라, 윙 칼라, 오픈 칼라, 오블롱 칼라 등

 

 

14. 그레이딩(grading) 제작 방법

 

 

  ① 트랙 시프트법 : 패턴 조각을 상ㆍ하, 좌ㆍ우로 이동시켜 축소, 확대하는 방법

 

 

  ② 래디얼 시프트법 : 패턴 중심부에 주변의 정정 바깥쪽으로 방사선을 그은 후 치수에                           따라 축소, 증감하는 방법

 

 

15. 마킹(marking)

 

 

  재단하고자 하는 천이나 종이에 재단선을 기입하는 공정

 

 

16. 마킹시 유의사항

 

 

  ① 조직의 방향을 맞춰 배치

 

 

  ② 문양, 체크무늬 등은 줄을 맞춰 배치

 

 

  ③ 털 방향을 맞춰 배치

 

 

  ④ 큰 것부터 배치

 

 

 

 

■ 재단

 

 

1. 패턴을 놓을 때는 바른 올 방향으로 큰 것부터 배치

 

 

2. 첨모 직물은 패턴 모두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여 재단

 

 

   : 털이 짧은 첨모 직물은 털 방향을 위로하고, 털이 긴 첨모 직물은 털 방향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재단

 

 

3. 무늬 있는 옷감의 재단

 

 

  ① 무늬가 있는 옷감은 먼저 무늬 방향과 무늬의 흥미 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생각하여       패턴을 배치하고 재단

 

 

  ② 줄무늬 옷감은 이은 솔기에서 줄무늬가 맞도록 재단

 

 

  ③ 재단시 위의 한 장만 자른 다음 무늬를 맞춰놓고 또 한 장을 재단

 

 

4. 플레어 스커트를 바이어스로 재단할 때는 정확한 45°사선 방향으로 재단

 

 

5. 완성선은 옷감이 상하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표시한다.

 

 

  ① 초크로 표시하기 : 옷감의 색에 따라 선택하여 가늘게 그린다.

 

 

  ② 실표 뜨기 : 완성선, 중심점, 가슴둘레선, 허리둘레선, 절개선, 단춧구멍의 위치를 정확       하게 표시하고, 직선은 간격을 넓게 하고, 곡선은 간격을 좁게 하여 뜬다.

 

 

  ③ 룰렛과 트레이싱 페이퍼로 표시하기 : 완성선보다 0.1cm 정도 시접 쪽에서 그린다.

 

 

  ④ 안감에 완성선 표시하기 : 안감을 반으로 접어 완성선을 송곳으로 눌러 표시한다.

 

 

6. 시접 분량은 바느질 방법, 옷감 재질, 두께에 따라 다르게 한다.

 

 

  ① 바느질에 따른 시접 분량 : 가름솔 2cm, 통솔 2cm, 쌈솔 1.5cm 정도

 

 

  ② 각 부위의 기본 시접 분량 : 어깨와 옆선은 2cm, 진동둘레와 허리선 및 절개선은           1.5cm 정도

 

 

     ㆍ소매단, 블라우스단, 지퍼 다는 곳은 3cm, 목둘레와 칼라는 1cm 정도

 

 

     ㆍ스커트, 슬랙스, 재킷의 단은 4~5cm 정도

 

 

  ③ 안감 시접 분량 : 길의 단, 소매 끝단, 스커트 단의 시접은 겉감 시접의 1/2 정도로 한       다. 그 외의 시접은 겉감과 동일하게 한다.

 

 

  ④ 심감 시접은 겉감과 같은 분량으로 재단하고 안단 심지나 칼라의 심지는 봉제한 후 시       접분을 두지 않고 왕성선대로 자른다.

 

 

7. 옷감량 계산

 

 

  ① 타이트 스커트

 

 

     : 150cm 폭 / 스커트 길이 + 시접 + 여유분

 

 

       110cm, 90cm 폭 / (스커트 길이 x 2) + 시접

 

 

  ② 슬랙스

 

 

     : 150cm 폭 / 슬랙스 길이 + 시접 10cm

 

 

       110cm, 90cm 폭 / (슬랙스 길이 x 2) + 시접

 

 

  ③ 블라우스

 

 

     : 150cm 폭 / 블라우스 길이 + 소매 길이 + 시접

 

 

       110cm, 90cm 폭 / (블라우스 길이 x 2) + 소매 길이 + 시접 + 여유분

 

 

  ④ 원피스 드레스

 

 

     : 150cm 폭 / 옷길이 + 소매 길이 + 시접 + 여유분

 

 

       110cm, 90cm 폭 / (옷길이 x 2) + 소매 길이 + 시접 + 여유분

 

 

  ⑤ 재킷

 

 

     : 150cm 폭 /옷길이 + 소매 길이 + 시접 + 여유분

 

 

       110cm, 90cm 폭 / (옷길이 x 2) + 소매 길이 + 칼라 넓이

 

 

 

 

■ 재단

 

 

1. 가봉시 주의점

 

 

  ① 실 : 면사

 

 

  ② 바느질 방법 : 상침 시침

 

 

2. 시착과 보정

 

 

  ① 시착

 

 

     ㉠ 올 방향이 수직, 수평인지 확인

 

 

     ㉡ 실루엣과 여유분 확인

 

 

     ㉢ 각 부분의 길이 확인

 

 

     ㉣ 허리둘레선, 단의 위치 수평 확인

 

 

  ② 보정

 

 

     ㉠ 처진 어깨

 

 

     ㉡ 솟은 어깨

 

 

     ㉢ 상반신 굴신 체형

 

 

     ㉣ 소매 앞에 소매산을 향해 주름이 생길 때

 

 

3. 기초봉

 

 

  ① 손 바느질법 : 홈질, 박음질, 시침질, 감침질, 심뜨기, 실표 뜨기, 공그르기 등

 

 

  ② 솔기 처리 : 가름솔, 통솔, 쌈솔, 뉨솔, 누름상침솔, 외줄솔, 쌍줄솔 등

 

 

  ③ 장식봉 : 개더링, 바이어스, 턱킹, 셔링, 스코킹, 러플, 파이핑, 스팽글, 비즈 등

 

 

4. 부분봉

 

 

  ① 단춧구멍 : 단추지름 + 단추두께

 

 

     ㉠ 실 단춧구명 : 버튼홀 스티치

 

 

     ㉡ 실기둥 단추의 기둥은 앞단의 두께 만큼 세운다.

 

 

  ② 소매 트임

 

 

     바이어스 트임, 솔기 트임, 덧단 트임 등

 

 

  ③ 포켓

 

 

     ㉠ 아웃 사이드 포켓(out side pocket) : 패치 포켓(patch pocket)

 

 

     ㉡ 인 사이드 포켓(in side pocket) : 인심 포켓(in seam pocket), 웰트 포켓(welt            pocket), 플랩 포켓(flap pocket), 프로트 힙 포켓(front hip pocket)

 

 

5. 봉제 순서

 

 

  ① 스커트 봉제 순서

 

 

     ㉠ 스커트 디자인에 있는 다트, 주름, 개더 등을 박기

 

 

     ㉡ 뒤트임 : 지퍼다는 곳, 트임 부분 심 붙이기

 

 

        앞트임 : 옆솔기 박기

 

 

     ㉢ 트임 부분 남기고 솔기 박기

 

 

     ㉣ 지퍼 달기

 

 

     ㉤ 안감 박기

 

 

     ㉥ 겉, 안 붙이기

 

 

     ㉦ 안감과 지퍼 정리

 

 

     ㉧ 벨트 달기

 

 

     ㉨ 단처리

 

 

     ㉩ 훅과 아이 달기

 

 

  ② 슬랙스 봉제 순서

 

 

     ㉠ 바지의 디자인에 있는 다트, 주름, 턱 박기

 

 

     ㉡ 디자인상 절개선 연결하기

 

 

     ㉢ 주머니 만들기

 

 

     ㉣ 옆솔기 박기

 

 

     ㉤ 밑위 박기

 

 

     ㉥ 지퍼 달기

 

 

     ㉦ 벨트 달기

 

 

  ③ 블라우스 봉제 순서

 

 

     ㉠ 디자인에 있는 다트, 주름, 턱, 개더 등의 디테일 봉제

 

 

     ㉡ 디자인상의 절개선(요크선 등) 봉제

 

 

     ㉢ 안단, 목둘레, 칼라 심대기

 

 

     ㉣ 어깨솔기 박기 : 가름솔, 쌈솔, 통솔

 

 

     ㉤ 칼라 달기

 

 

     ㉥ 옆솔기 박기 : 가름솔

 

 

     ㉦ 소매 달기

 

 

     ㉧ 앞여밈(앞단) 정리

 

 

     ㉨ 단춧구멍, 단추달기

 

 

6. 옷감과 바늘, 실과의 관계

 

 

  ① 옷감과 바느질 방법에 알맞은 실과 바늘을 선택한다.

 

 

  ② 실의 엉킴을 막기 위해 실 길이가 길지 않게 하고, 잘 엉키는 실은 양초 다리미로 문       질러서 사용한다.

 

 

7. 퍼커링(puckering)과 그 대책

 

 

  ① 퍼커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옷감, 재봉틀, 봉제사 및 봉제 방법

 

 

  ② 퍼커링 및 그 대책

 

 

     ㆍ구조적 퍼커링(inherent puckering)

 

 

       - 평직을 능직, 변화 능직 등으로 조직을 바꿔줌

 

 

       - 시임을 플랫 시임으로 바꾸어 바이어스 경사로 스티칭

 

 

       - 직물의 밀도를 줄여줌

 

 

     ㆍ장력차에 의한 퍼커링(tension puckering)

 

 

       - 천위에 종이를 얹고 봉제

 

 

       - 봉사는 저신축성이 고려되어야 함

 

 

       - 스팀, 고온수에서도 수축되지 않는 것을 사용

 

 

     ㆍ급포상태에 따른 퍼커링(feeding puckering)

 

 

       - 신축성이 같은 천을 봉합

 

 

       - 신축도 차이가 있는 천일 경우 신축성이 큰 천을 아래천으로 사용

 

 

8. 시임의 분류

 

 

  ① 슈퍼임포즈 시임(SS)

 

 

  ② 랩 시임(LS)

 

 

  ③ 바운드 시임(BS)

 

 

  ④ 플랫 시임(FS)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