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M으로 계산하는 방법
2820*3050*3050(cm) 9.5톤 입니다.
CBM으로 계산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답변:
2820*3050*3050(cm) ==> m로 환산하면;
28.2 x 30,5 x 30.5(m) = 26,233.05CBM
그런데.. 중량은 9.5톤인데 이런 화물이 실제 있나요? 아마도 질문상에 단위가 cm가 아닌 mm가 아닌가 싶은데....
참고로,
CBM이란, cubic meter(입방미터)의 약자로 단위는 meter가 기준이 됩니다.
즉, 2820cm는 28.2m가 되겠죠?
따라서, 28.2m(L) X 30.5m(W) X 30.5m(H) = 26,233.05 cbm이 되는 것 입니다.
여기에 총 포장개수를 곱하면 total cbm 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Size 측정시 최대 가로 x 최대 세로 x 최대 높이로 측정해야됩니다.
(포장시 튀어 나온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까지 측정해야만 됩니다.)
아울러 표기는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cubic meter (입방미터) : cbm
cubic centimeter (입방센티미터) : cu.cm. 또는 cc
cubic inch (입방인치) : cu.in.
cubic feet (입방피트) : cu. ft.
cubic yards (입방야드) : cu. yd.
================================================================
드럼통 가로57CM 높이89CM 중량160KG.. 해상운송할껀데 CBM 계산좀해주세요
가로 0.57 x 세로 0.57 x 높이 0.89 = 0.29 CBM 입니다
CBM이란 Cubic Meter의 약자로서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미터인 부피를 환산하는 단위입니다.
컨테이너 적재능력은 중량과 부피로 가늠이 되는데 중량은 Ton이나 kg으로 부피는 CBM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최대 적재 부피는 그 내장 size에 의해 결정이 되지만 컨테이너 내,외장 size는 운송단위 규격화를 위해 국제적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제작사에 따라 무시할 정도의 근소한 차이는 있음)
아래는 컨테이너 내장 Size 의 최소치를 기준으로 적어 놓은 것 인데 어느 선사의 컨테이너라도 아래의 수치를 적용하면 무리가 없을것 입니다.
* 내장 Size ; 길이/폭/높이/CBM
- 20ft(Dry) ; 5.8M/2.3M/2.3M/30.682
- 40ft(Dry) ; 12M/2.3M/2.3M/63.480
(CBM은 위의 숫자를 곱하면 나옴)
그런데 위의 CBM은 물이 아닌 다음에는 실제 화물을 적재 할 경우 나올수 있는 수치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화물 적재시 Dead Space(공간)가 생기기 때문인데 이는 화물의 외장 Size에 달려 있습니다.
예로 어느 1개 화물의 포장후의 외장 높이가 1.2M를 넘게 되면 컨테이너 내 2단적재(2층으로 쌓는것)가 안되므로 화물을 많이 적재 할 수 없습니다. (물론 폭이 좁고 물건을 옆으로 뉘어도 상관이 없다면 문제가 달라 지겠지만) 일반적으로 화물의 단위당 용적(CBM)이 작을수록 화물은 많이 적재 할 수 있습니다.
즉, 같은 30CBM의 화물이라도 단위당 화물의 Size가 책상 만한 것과 라면 Box 만 한 것이 있다면 라면 Box 만한 화물의 Dead Space가 적게 나오기 때문에 화물을 더 많이 적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상 만한 화물이나 더 큰 화물 이라도 컨테이너의 내장 Size를 감안, 포장을 제작 하였다면 문제는 달라질 것입니다.
'직업창고·´″°³оΟ♡ > 패션♡직업자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류제품 생산용어 (0) | 2023.05.10 |
---|---|
화물차 종류및 제원 (0) | 2023.04.10 |
양면 골판지 (0) | 2023.04.10 |
골판지 (0) | 2023.04.10 |
어패럴 뉴스 기사 (0)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