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사경요혈주치가(十四經要穴主治歌)-족부.
*작성자:본인.
*최초출처.
의종금감(醫宗金鑑) 누구의 저자인지 고증이 필요.
14경락의 주요 혈위를 신체 부위에따라 두부, 흉복부, 배부, 수부, 족부로 구분하여 주치하는 병증을 요점만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내용 출처:일침(一鍼)
*저자:량리우(梁立武)
*옮긴이:이명재(李明宰) 청홍 출판 (2009)
*Photo taken from.(Picture reference).
1. A Manual of Acupuncture:Peter Deadman & Mazin Al-Khafaji with Kevin Baker (2008).
2. 자료출처, 일침, Dict Box(English & Korean), 의학사전, 한의틔움.
#은백(Yin Bai隱白SP1:Hidden White)은 심(心)과 비(脾)의 통증을 주치하며,
隱白主治心脾痛,
은백주치심비통,
#축빈(Zhu Bin筑賓KI9:Guest House)은 능히 산기(疝氣)의 통증을 치료한다.
筑賓能醫氣疝疼.
축빈능의기산동.
@산기(疝산증산氣):아랫배와 불알에 탈이 생겨 붓고 아픈 병.
#조해(Zhao Hai照海KI6:Shining Sea)는 야경(夜驚)을 치료하고, 더불어 소갈(消渴)과 변이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照海穴治夜發痙, 兼療消渴便不通.
조해혈치야발경, 겸료소갈변불통.
@야경(夜驚):밤에 놀라 헛것등을 보는 경기증
#대도(Da Du大都SP2:Great Metropolis)는 온열병(溫熱病)을 주치한다. 상한(傷寒)으로 인한 궐역(厥逆)과 구토, 번조(煩燥)를 치료하는데, 출산 후 100일 내에는 뜸을 뜨지 않는다.
大都主治溫熱病, 傷寒厥逆嘔悶煩, 胎産百日內禁灸,
대도추치온열병, 상한궐역구민번, 태산백일내금구,
@궐역(厥대궐궐逆거스릴역):
@번조(煩괴로워할번燥마를조)
#천금(千金(外穴))은 뜸을 떠 대변보기 어려운 것을 주치한다.
千金主灸大便難.
천금주구대변난.
#태백(Tai Bai太白SP3:Supreme White)은 치루(痔漏)를 주치하고, 모든 복통(腹痛)과 대변보기 어려운 것을 치료한다.
太白主治痔漏疾, 一切腹痛大便難.
태백주치치루병, 일절복통대편난.
@치루(痔漏):치질의 한 가지, 항문 주위에 작은 구멍이 생겨 고름이나 똥물이 흐르는 병;누치.
#상구(Shang Qiu商丘SP5:Shang Hill)는 비달(痞疸)과 한학(寒瘧)을 주치하고, 더불어 구토(嘔吐)와 설리(泄痢)를 치료 한다.
痞疸寒瘧商丘主, 兼治嘔吐泄痢痊.
비달한학상구주, 겸치구토설리전.
@비달(痞결릴비疸황달달):
@한학(寒瘧):寒氣(한기)가 內伏(내복)한데다가 다시 風邪(풍사)를 感受(감수)하여, 誘發(유발)되는 一種(일종)의 瘧疾(학질)이다. 臨床表現(임상표현)은, 寒多熱少(한다열소)하고, 每日(매일) 1回씩 發作(발작)하거나 或은 隔日發作(격일발작)하며, 發作時(발작시)에 頭痛(두통)하고, 無汗(무한) 或은 微汗(미한)하며, 脈(맥)이 弦緊有力(현긴유력)한 等(등)이다.
@설리(泄痢):鶩溏(목당)이라 한다.
寒瀉(한사)를 말함. 「鴨溏압당」혹은「鶩泄목설」이라고도 함. 瀉下(사하)하는 大便(대변)에 水糞(수분)이 相雜(상잡)되고, 色(색)이 靑黑色(청흑색)으로 鴨糞(악분)과 같음을 形容(형용)한 것이며, 小便(소변)이 淸(청)하고, 脈(맥)이 沈遲(침지)하다. 이는 寒濕(한습)의 證(증)에 屬(속)하며, 脾氣(비기)가 虛(허)하고, 大腸(대장)이 寒(한)한 所致(소치)이다. 만약 瀉下(사하)한 大便(대변)이 다만 淸稀(청희) 垢噦(구홰(천천희가는 모양홰))한 糞便(분변)이라면 「溏泄당설」혹은「泄痢설리」라 한다.
#공손(Gong Sun公孫SP4:Yellow Emperor)은 담옹격(痰壅隔)을 주치하는데, 장풍(腸風)과 하혈(下血) 적괴(積塊)와 더불어 부녀자의 고(蠱)를 치료한다. 먼저 보(補)하고 나중에 사(瀉)하면 자연스럽게 낫는다.
公孫主治痰壅隔, 腸風下血積塊疴, 兼治婦人氣蠱病, 先補後瀉 自然瘥.
공손주치담옹격, 장풍하혈적괴아, 겸치부인기고병, 선보후사 자연채.
@담옹격(痰담담壅막을옹隔막을격).
@적괴(積쌓을적塊덩어리괴).
@고(蠱독고).
#삼음교(San Yin Jiao三陰交SP6:Three Yin Intersection)는 비만(痞뱃속결릴비滿)을 주치한다. 고냉(痼冷)과 산기(疝氣), 각기(脚氣)와 더불어 불임(不姙)과 난산(難産)을 치료하며, 유정(遺精)과 대하(臺下), 임리(淋漓)를 낫게 한다.
三陰交治痞滿堅, 痼冷疝氣脚氣纏, 兼治不孕及難産, 遺精帶下淋灕痊.
삼음교치비만견, 고냉산기각기전, 겸치부잉급난산, 유정대하임리전.
@고냉(痼고질병고冷찰냉)
@산기(疝산증산氣):아랫배와 불알에 탈이 생겨 붓고 아픈 병.
@각기(脚氣):비타민 B1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실조 증세로 다리가 붓고 마비되어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몾하게 되는 병증.
@유정(遺精):Involuntary ejaculation, Spermatorrh(o)ea (주간의) diurnal pollution, Nocturnal emission(야간의), 정이 새는 증상, 소변에 정이 석이어 나오는증.
@대하(臺下):여자의 음부에서 흘러나오는 희거나 붉은 점액.
@임리(淋漓):피, 땀, 물 따위가 흥건하게 흐르거나 뚝뚝 떨어지는 모양.
#혈해(Xue Hai血海SP10:Sea of Blood)는 모든 혈증(血症)을 치료하는데, 더불어 모든 창병(瘡病)도 치료하여 저절로 가벼워지게 한다.
血海主治諸血疾, 兼治諸瘡病自輕.
혈해주치제혈질, 겸치제창병자경.
@창병(瘡病):매독을 이르는 말 Or; 담, 담창, 창질의 준말.
#음릉천(Yin Ling Quan陰陵泉SP9:Yin Mound Spring)은 옆구리와 복부의 통증과 그득한 것을 치료하는데, 가운데 아래를 자침하면 편안해진다.
陰陵泉治脅腹痛滿, 刺中下部盡皆鬆.
음릉천치협복통만, 자중하부진개송.
#용천(Yong Quan勇泉KI1:Gushing Spring)은 족심열(足心熱)에 자침하는 자리로, 분돈(奔豚)과 산기(疝氣)의 통증에도 자침한다. 혈림(血淋)과 기통(氣痛)으로 참기 어려울 때는 금침(金針)으로 사(瀉)하면 저절로 편안해진다.
勇泉主刺足心熱, 兼刺奔豚疝氣疼, 血淋氣痛疼難忍, 金針瀉動自安寧.
요천주자족심열, 겸자분돈산기동, 혈림기통동난인, 금침사동자안녕.
@분돈(奔豚):古病名(고병명)이다. 靈樞(영추), 難經(난경), 金匱要略等書(금궤요략등서)에 있음. 五積(오적)의 하나이며 腎(신)의 積(적)에 屬(속)함. 金匱要略(금궤요락)에서는 奔豚氣(분돈기)라 하였음. 豚(돈)은 小豚(소돈)을 뜻함. 奔豚(분돈)의 原因(원인)은 하나는 腎臟(신장)의 寒氣(한기)가 上衝(상충)하기 때문이며 또 하나는 肝臟(간장)의 氣火가 上逆(상역)하기 때문이다. 臨床特徵(임상특징)은 發作的(발작적)으로 下腹(하복)의 氣가 胸(흉)으로 上衝(상충)하여 咽喉(인후)로 直達(직달)해서 腹部(복부)가 絞痛(교통)하고 胸悶氣急(흉민기급)하며 頭痛(두통), 目眩(목현)하고 心悸易驚(심계상경)하며 煩躁不安(번조불안)하고 發作(발작)이 지난 後(후)에는 如常(여상)하다. 때로는 寒熱往來(한열왕래) 或은 吐膿症狀(토농증상)을 隨伴(수반)하기도 한다. 本病(본병)은 發作時(발작시)에 胸腹(흉복)에 小豚(소돈)이 奔走(분주)하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證候(증후)의 表現(표현)으로 보아 胃腸神經官能證(위장신경관능증)에 屬(속)하며 腸道(장도)의 積氣(적기)와 蟉動(요동)의 亢進(항진) 或은 痙攣狀態(경련상태)가 나타난다.
@산기(疝氣): 아랫배와 불알에 탈이 생겨 붓고 아픈 병.
@혈림(血淋):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임질.
#연곡(Ran Gu然谷KI2:Blazing Valley)은 후비(喉痹)와 해혈(咳血), 족심열(足心熱), 유정(遺精), 산기(疝氣), 학질(瘧疾)로 인한 소갈, 번열을 주치한다. 더불어 갓난아기의 제풍(臍風)을 치료한다.
然谷主治喉痹風, 欬血足心熱遺精, 疝氣溫瘧多渴熱, 兼治初生兒臍風.
연곡주치후비풍, 해혈조심열유정, 산기온학다갈열, 겸치초생아제풍.
@제풍(臍風):撮口(찰구), 「噤風금풍」이라고도 함. 新生兒(신생아)의 破傷風(파상풍)이다. 牙關緊閉(아관긴폐)하고, 强直痙攣(강직경련)하며, 角弓反張(각궁반장)하고, 顔面(안면)에 苦笑(고소)를 띠는 것이 特徵(특징)이다. 重症(중증)인 경우는 顔面(안면)이 靑色(청색)으로 變(변)하고, 呼吸促急(호흡촉급) 等症(등증)을 兼發(겸발)한다. 主㈜로 臍帶切斷(제대절단)의 不潔(부결)이나 或은 臍帶脫落(제대탈락)이 너무 빨라서, 局部(국부)가 受傷(수상) 感染(감염)된 所致(소치)이다. 最近(최근)에는 發達(발달)한 助産法(조산법)으로, 本病(본병)이 極(극)히 적어졌다.
#태계(Tai Xi太谿KI3:Great Canyon)는 소갈병(消渴病)을 주치한다. 더불어 방노(房勞)와 부녀자의 수고(水蠱), 흉협만(胸脇滿)을 치료하는데, 금침(金針)으로 자침하면 저절로 편안해진다.
太谿主治消渴病, 兼治房勞不稱情, 婦人水蠱胸脅滿, 金針刺後自安寧.
태계주치소갈병, 겸치방노불칭정, 부인수고흉협만, 금침자후자안녕.
@방노(房勞):房室傷(방실상)이라고도 함. 性生活(성생활)이 過度(과도)하여 腎精(신정)을 耗損(모손)해서 勞損症(노손증)의 病因(병인)의 하나가 됨을 말함.
@수고(水蠱독고):독기가 있는 병을 주로 뜻하며, 앞에 혈이나 수 등의 글자와 함께 쓰이기도함, 병의 한 종류를 뜻하는 고유 명사처럼 주로 사용된다고 알면 도겠습니다.-By 문지환.
#음곡(Ying Gu陰谷KI10:Yin Valley)은 설종(舌縱)과 유연(流涎), 복창만(腹脹滿), 소변불리(小便不利), 산통(疝痛), 양위(陽痿), 비병(痹病)을 비롯해 부녀자의 누하(漏下)도 능히 치료한다.
陰谷舌縱口流涎, 腹脹煩滿小便難, 疝痛陽痿及痹病, 婦人漏下亦能痊.
음곡설종구유연, 복창번만소변난, 산통양위급비병, 부인누하역능전.
@설종(舌혀설縱세로종,늘어지다종):멋대로 하다의 의미로 縱(종)가 많이 쓰인다.하지만 늘어지다의 의미로 도 쓰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by-정 영곤.
@유연(流흐를유涎끌연)
@복창만(腹脹滿):이는 腹部(복부)가 脹滿(창만)한 症狀(증상)이며 虛實(허실)의 區分(구분)이 있다. 虛證(허증)은 대개 脾陽失運(비양실운)의 所致(소치)이며 언제나 下利(하리) 腹滿痛(복만통)하고 喜溫喜按(희온희안)하며 苔白(태백) 脈緩弱(맥완약)을 兼發(겸발)한다.
實證(실증)은 대개 胃腸(위장)에 熱結(열결)한 所致(소치)이며 언제나 便秘(변비)가 되고 腹痛拒按(복통거안)하며 舌苔(설태)가 黃燥(황조)하고 脈象(맥상)이 沈實有力(침실유력)한 症狀(증상)을 나타낸다.
@산통(疝痛):복부 내장의 질환으로 갑자기 격렬하게 일어나는 간헐적 복통.
@양위(陽痿): 「陽事不擧(양사불거)」라고도 함. 陰莖(음경)이 勃起(발기)하지 않는 病症(병증)을 말함. 「內經(내경)」에서는 「陰痿(음위)」라 稱(칭)하였음. 대개는 性欲(성욕)의 過度(과도) 或은 手淫(수음)의 誤犯(오범)으로 인해 精氣(정기)를 損傷(손상)하고, 命門火(명문화)가 衰(쇄)해지기 때문이며, 或은 思慮憂鬱(사려우울)로 心脾(심비)를 損傷(손상)하고, 或은 過度(과도)하게 恐懼(공구)하여 腎氣(신기)를 損傷(손상)한 所致(소치)이다. 命門火(명문화)가 衰(쇄)한 데 起因(기인)한 경우는, 대개 頭暈神倦(두훈신권)하고, 腰足(요족)이 痠軟(산연)한 症狀(증상)을 나타낸다. 思慮(사려)로 心脾(심비)를 損傷(손상)하거나 或은 恐懼(공구)로 傷腎(상신)한 데 起因(기인)한 경우는, 언제나 膽怯(담겁)하여 잘 놀라고, 睡眠不安(수면불안)의 症狀(증상)을 나타낸다.
@비병(痹저릴비病):저리고 마비되는 증상을 통틀어 한의학에서는 비증 이라고 합니다. 현대의학 적 의미로 각기병이나 류머티증을 의미 하는 단어 입니다.BY-정 아름.
*뼈까지 눌러야 맥이 약하게 나타나는 것은 허리와 등뼈가 아프고 몸에 비증이 있는것이다-동의보감.
@누하(漏下): 「經崩(경붕)」이라고도 함. 月經期間(월경기간)이 아닌데, 陰道內(음도내)에서 大量出血(대량출혈)하거나 或은 持續的(지속적)으로 出血(출혈)하며, 淋瀝(임력)이 계속되는 病症(병증)을 말함. 出血量(출혈량)이 많고, 病勢(병세)가 急激(급격)한 것을 「血崩(혈붕)」 或은 「崩中」이라 하며, 出血量이 비교적 적으나 끊임없이 持續(지속)되는 것을 「漏下(누하)」라 한다(金匱要略(금궤요락)·婦人姙娠病脈證並治(부인임신병맥병치)(一說(일설)에는 月經(월경)이 停止(정지)된 直後(직후)에 또 下血이 되고, 淋瀝(임력)이 不斷(부단)한 것을 漏下(누하)라 하기도 함). 崩(붕)과 漏(루)는 相互轉化(상호전화)하는데, 그 原因(원인)은 주로 衝(충)·任脈(임맥)이 不固(부고)하기 때문이다. 臨床上(임상상), 氣虛(기허)·血熱(혈열)·血瘀(혈어) 等型(등형)으로 나뉜다. 産婦人科(산부인과)에서 많은 疾病(질병)(例(예)컨대 機能性子宮出血(기능성자궁출혈), 子宮腔(자궁관)이나 內生殖器官(내생식기관)의 炎症(염증), 腫瘤(종류) 등)이 崩漏(붕루)의 證候(증후)를 惹起(야기)하는 수가 있으므로, 早期(조기)에 診斷治療(진단치료)해야 한다.
#부류(Fu Liu復溜KI7:Recover Flow)는 혈림(血淋)에 뜸뜨기 좋은 자리로 기체요통(氣滯腰痛)에 침을 놓으면 아주 좋다. 상한(傷寒)으로 땀이 나지 않으면 급히 이 혈을 사(瀉)하는데, 가라앉은 육맥(六脈)이 바로 뻗어 통한다.
復溜血淋宜乎灸, 氣滯腰疼貴在針. 傷寒無汗急瀉此, 六脈沉伏卽可伸.
부류혈림의호구, 기체요동귀재침. 상한무한급사차, 육맥침복즉가신.
@혈림(血淋):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임질(淋疾).
溲血(수혈:오줌수로 가장 많이 쓰인다(한의학),일반 적인뜻:반죽할수)
「尿血뇨혈」, 「溺血익혈」이라고도 함. 이는 小便中(소변중)에 血液(혈액) 或은 血塊(혈괴)가 섞이는 것이며, 排尿時(배뇨시)에 뚜렷한 疼痛(동통)은 없으며, 간或 輕微(경미)한 脹痛(창통)이나 熱痛(열통)이 있더라도, 小便(소변)이 難澁(난삽)하고 疼痛(동통)을 참기 어려운 血淋(혈림) 같지는 않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有痛(유통)한 것을 「血淋(혈림)」이라 하고, 不痛(부통)한 것을 「溲血수혈」이라 한다. 臨床上(임상상), 虛證(허증)과 實證(실증)으로 나뉜다. 實證은, 대개 突然(돌연) 發作(발작)하며, 尿血(료혈)이 鮮紅色(선홍색)이고, 排尿(배뇨)할 때 尿道(요도)에 熱澁(열삭)한 感覺(감각)이 있다. 만약 身熱(신열) 面赤(면적), 心煩(심번) 口渴(구갈)을 兼發(겸발)하는 것은, 血分(혈분)의 열우 或은 下焦(하초)의 濕熱(습열) 때문이다. 神疲(신피), 目眩耳鳴(목현이명), 腰腿(요퇴산軟(연)을 兼發(겸발)하는 것은, 陰虛火動(음허화동)에 起因(기인)한다.
虛證(허증)은, 대개 久病(구병)에 屬(속)하며, 尿血(뇨혈)이 鮮紅色(선홍색)이고, 排尿時(배뇨시)에 대개는 痛滯感(통체감)이 없으며, 食少(식소)하고, 神倦(신권)하며, 面色(며색)이 萎黃(위황)하고, 腰脊(요척)이 산통하며, 頭춘耳鳴(두춘이명) 等症(등증)을 나타내며, 대개는 脾腎兩虛(비신양허)의 所致(소치)이다.
#대돈(Da Dun大敦LV1:Large Pile)은 산증(疝症), 음낭종(陰囊腫)과 더불어 뇌뉵(腦衄), 파상풍(破傷風), 소아의 급만성 경풍(驚風)을 치료한다. 보리알만 한 뜸을 뜨면 영험한 효과를 본다.
大敦治疝症陰囊腫, 兼治腦衄破傷風, 小兒急慢驚風病, 炷如小麥灸之靈.
대돈치산증음낭종, 겸치뇌뉵파상풍, 소아급만경풍병, 주여소맥구지영.
@산증(疝症):아랫배와 불알에 탈이 생겨 붓고 아픈 병.
@음낭종(陰囊주머니낭腫종기종)
@뇌뉵(腦衄):입과 코에서 피가 멈추지 않는 증상.
@파상풍(破傷風):파상풍균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급성 전염병. 파상풍균(A TETANUS BACILLUS)의 독소가 말초 신경이나 척수 세포를 침범하여 전신의 근육에 강직성 경련을 일으킴.
@경풍(驚風):어린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을 이르는 말, 경기(convulsion)
#행간(Xing Jian行間LV2:Moving Between)은 소아경풍(小兒驚風)을 주치하며, 더불어 부녀자의 혈고(血蠱)에 침을 놓아 치료한다. 혼신종창(渾身腫脹)과 단복창(單腹脹)에 선보후사(先輔後寫)하면 자연스럽게 편안해진다.
行間穴治兒驚風, 更刺婦人血蠱症, 渾身腫脹單腹脹, 先輔後寫自然平.
행간혈치아경풍, 갱자부이혈고증, 혼신종창단복창, 선보후사자연평.
@혈고(血蠱):징가의 증상이 심해져 배가 돌처럼 굳어지는 증.
@혼신종창(渾身腫脹):온몸이 곪거나 부스럼 따위가 나서 부어오름.
@단복창(單腹脹):뱃속에 덩어리가 만져지는 증상, 배만 몹시 불러 오르고 얼굴과 팔다리는 붓지 않으며, 밖이 비록 단단하며 팽창하나 속은 마치 텅 비어있는 북과 같아서 고창이라함.
#태충(Tai Chong太衝LV3:Supreme Surge)은 종창만(腫脹滿)으로 움직이거나 걷기 어려운 것을 주치한다. 더불어 곽란(霍亂)과 토사(吐瀉)를 치료하며, 수족의 전근(轉筋)에 뜸을 떠 치료한다.
太衝主治腫脹滿, 行動艱辛步履難, 兼治霍亂吐瀉證, 手足轉筋灸可痊.
태충주치종창만, 행동간신보이난, 겸치곽란토사증, 소족전근구가전.
@곽란(霍亂):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를 하는 급성 위장병.
@토사(吐瀉):토사곽란:Acute Gastroenteritis; vomiting, and diarrhea.
@전근(轉筋): a cramp; a twitch; 근육이 뒤틀려 오그라짐.
#중봉(Zhong Feng中封LV4:Mound Center)은 유정(遺精)을 주치한다. 음축(陰縮)과 오림(五淋), 소변불리(小便不利), 고창(鼓脹), 영기(癭氣)에는 나이만큼 뜸을 뜬다. 걷기 어려울 때는 삼리(三里(胃))와 합곡(合谷)에도 같이 뜸을 뜬다.
中封主治遺精病, 陰縮五淋溲便難, 膨脹癭氣隨年灸, 三里合谷步履難.
중봉주치유정병, 음축오림수변난, 팽창영기수년구, 삼리합곡보이난.
@음축(陰縮):음경이 차고 줄어드는 병.
@오림(五淋): *五淋; 勞淋(노림)·血淋(혈림)·氣淋(기림)·石淋(석림)·熱淋(열림) 등 5가지 淋證(임증)을 통틀어 이른 말. 임증이란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방울방울 끊임없이 떨어지며, 늘 오줌이 급하게 나오면서 짧고 자주 마려운 병증. 淋病(임병)이라고도 함.《醫學入門》 <임(淋)>에서 "임은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누려고 하면 나오지 않고 누려고 하지 않는 데도 나오며 찔끔찔끔 끊임없이 지리는 것이다(淋, 小便澀痛(소변삽통), 欲去不去(욕거부거), 不去又來(부거우래), 滴滴不斷(적적부단).)"라고 하였다.
@고창(鼓북고脹배부를 창):meteorism; tympanites; flatulence:배에 가스가 차서 타진하였을 때 북처럼 울리는 것을 의미.
@영기(癭氣): 갑상선 질환은 한의학적으로는 영기[癭氣]란 영(癭) 혹의 하나로 영류라고 한다. 주로 목에 생기고 어깨에도 생김. 육음(六淫) 외감, 또는 칠정(七情), 주로 노기(怒氣) 내상, 또는 습담(濕痰)의 정체로 생기거나 풍토(風土)와도 관련되어 기혈이 응체해 생김. 동의보감에는 육영(肉癭), 근영(筋癭), 혈영(血癭), 기영(氣癭), 석영(石癭)으로 구분됨. 벌겋게 불거져 나오고, 당기지는 않으며, 밑은 작고, 아래로 늘어진다. 갑상선 질환의 치료법은消癭解毒[영류를 없애고 독을 풀어줌], 軟堅散結[단단함을 연하게 하며 결체됨을 흩어지게 함], 除痰化瘀[담을 제거하고 어혈을 변화하여 없앰]이다. 출처: Imagediet's Blog(Posted on 5월 24, 2011)
#곡천(Qu Quan曲泉LV8:Spring at the Bend)은 음부(陰部)의 산증(疝症)과 음고통(陰股痛), 하지냉증과 오랜 실정(失精)을 치료한다. 더불어 여자의 음정(陰挺)과 음양(陰痒)을 치료하며, 소복(少腹)의 냉통(冷痛)과 혈가(血瘕)를 치료한다.
曲泉㿉疝陰股痛, 足膝脛冷久失精, 兼治女子陰挺痒, 少腹冷痛血瘕症.
곡천퇴산음고통, 족슬경냉구실정, 겸치여자음정양, 소복냉통혈가증.
@산증(疝症): 아랫배와 불알에 탈이 생겨 붓고 아픈 병.
@음고통(陰股널쩍다리고痛).
@실정(失精): ◎ 脫營失精證 ○ 內經曰嘗貴後賤名曰脫營嘗富後貧名曰失精雖不中邪病從內生身體曰減氣虛無精病深無氣酒酒然時驚病深者以其外耗於衛內奪於榮註云血爲憂煎氣隨悲減故外耗於衛內奪於榮⃝是證令人飮食無味神倦肌瘦內服交感丹(方見氣門)外用香鹽散(方見牙齒)擦牙<入門>⃝宜服天王補心丹(方見下)加減鎭心丹升陽順氣湯淸心補血湯(方見上):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 『내경』에는 "전에 귀족으로 살다가 후에 천민이 되어 생긴 병을 탈영(脫營)이라 하고 전에 부자로 살다가 후에 가난해져서 생긴 병을 실정(失精)이라고 한다. 비록 사기가 침범하지는 않았지만 병이 속에서부터 생겨 몸이 매일같이 수척해지면 기가 허해지고 정기(精氣)도 없으며 병이 심해져서 기운이 없어지고 으스스하면서 때때로 놀라게 된다. 병이 심해지는 것은 겉으로 위기(衛氣)가 소모되고 속으로는 영혈(榮血)이 허탈되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또한 주해에는 "혈은 근심 때문에 줄어들고 기는 슬픔 때문에 감소되므로 겉에서는 위기(衛氣)가 소모되고 속으로는 영(榮)이 허탈된다"고 씌어 있다. ○ 이때의 증상으로는 음식맛이 없게 되며 몸이 나른해지고 살이 여위어진다. 이런 데는 교감단(交感丹,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먹고 외용약 향염산(香鹽散, 처방은 이빨문에 있다)으로 이를 닦는다[입문]. ○ 탈영증과 실정증에는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처방은 아래에 있다), 가감진심단, 승양순기탕,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 加減鎭心丹 ○ 治氣血不足心神虛損天門冬黃芪蜜灸當歸身酒焙熟地黃各一兩半麥門冬生乾地黃山藥白茯神各一兩五味子遠志薑汁製人參各五錢右爲末蜜丸菉豆大朱砂爲衣溫酒或米飮下五七十丸<北窓>
☞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기혈(氣血)의 부족과 심신(心神)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 천문동, 황기(봉밀물로 축여 구운 것), 당귀(술로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숙지황 각각 60g, 맥문동, 생건지황, 마, 백복신 각각 40g, 오미자,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인삼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북창].
◉ 升陽順氣湯 ○ 治忿怒傷肝思慮傷脾悲哀傷肺以致各經火動有傷元氣發熱不思飮食黃芪蜜灸二錢人參半夏薑製各一錢神麴炒七分半當歸草豆蔲陳皮升麻柴胡各五分黃栢甘草灸各二分半右剉作一貼薑三片水煎服<丹心>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 ○ 몹시 성내어 간을 상한 것, 사색을 지나치게 하여 비를 상한 것, 지나친 비애로 폐를 상해서 각각 해당한 경의 화가 동하고 원기를 상하며 열이 나고 음식을 먹고 싶어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황기(봉밀물로 축여 구운 것) 8g, 인삼, 반하(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각각 4g, 신국(볶은 것) 3g, 당귀, 초두구, 진피, 승마, 시호 각각 2g, 황백, 감초(볶은 것) 각각 1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출처:HaanDoctor.
@음정(陰挺뺄정):음문으로 자궁이 빠져 나온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일명 음퇴라고 한다.
馬藺花丸(마린화환)의 처방을 사용한다.{정전}출처: 한글동의 보감.
@음양(陰痒알을양): 음양증(陰痒症)이란 외음소양증의 줄임말로 여성의 외음부가 몹시 가려운 증상을 말한다. 음양증은 외음 및 질의 각종 염증이 주요 원인이지만 대하가 많고 음부주위가 불결할 때, 당뇨병, 갱년기장애, 비만증 등의 경우에 생기기 쉽고 또 임신, 알레르기, 비타민 부족 및 신경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처음에는 외음부 주위가 얼얼하다가 몹시 가렵다.
긁으면 상처가 생기고 피가 난다. 잠자리에 들어 몸이 따듯해 질 때, 속옷이 닿아 마찰이 생길 때, 성적으로 흥분할 때 등에 가려움증은 더욱 심해진다. 가려움증이 심하면 밤잠을 설치게 되고 신경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가렵기 때문에 외음부를 긁어서 상처가 생기거나, 비만여성의 경우 외음부마찰이 심하거나, 각종 질염과 요충의 감염이 있으면 외음염을 일으키고, 자궁 및 질의 분비물이 증가하거나 당뇨 등의 자극을 받으면 속발성의 염증이 생긴다.
외음부에 염증이 생기면 벌겋게 붓고 아프고 가렵고 분비물이 나오고 배뇨시와 걸을 때 쓰리고 아프며 외음부에 습진, 피부염, 농양 등이 생긴다. 만성기에는 외음부의 피부가 두꺼워지며 소양증이 남는다. 분비물의 자극에 의해 '첨형콘딜로마'라고 하는 쌀알같은 융기물이 돋아나기도 한다. 외음염은 소녀, 임신부, 노인, 당뇨병 환자 등 피부의 저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질염은 크게 '트리코모나스'질염 및 '칸디다'질염과 임균, 대장균, 화농균 등 잡균에 의한 비특이성질염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트리코모나스'질염과 '칸디다'질염은 가려움증이 몹시 심하다. '트리코모나스'질염은 우유빛 또는 담황색의 묽은 액체에 자잘한 거품이 섞인 듯한 대하가 많이 나오고 질과 외음이 붓고 짓물러 몹시 가렵고 따끔거린다. 요도가 자극을 받아 소변이 자주 마렵고 소변을 보고 나도 개운하지 않다. 질구는 몹시 예민하게 되어 성교통을 일으키며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불감증의 원인이 된다.
흔히 곰팡이균으로 알려져 있는 '칸디다'질염은 항생제를 많이 사용한 뒤에 일어나기 쉽다.
대하는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으나 질입구에는 항상 백색의 분비물이 끼어있고 가려움증이 몹시 심하다. 한방에서는 음부소양증에 내복약과 외용약을 함게 사용한다.
체력이 좋은 사람으로서 소변이 잦고 아프며 농성대하가 있고 가려운 경우는 용담사간탕이 잘 듣는다. 체력이 다소 약하고 신경이 예민하여 잘 노하거나 흥분하는 사람으로 흰색의 묽은 대하가 있으면서 가려우면 가미소요산을 쓴다. 노인성질염은 난소의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질점막이 얇아지고 저항력이 떨어져 외계의 자극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세균이 번식하여 대하가 증가하고 가려움증과 통증이 오는 것으로 이럴 때는 팔미원을 쓴다. 음양증은 내복약과 함께 외용약을 같이 쓰면 효과가 더욱 좋다.
1) 고삼 80g을 물 1리터에 달여서 매일 1회씩 질강안을 씻고 1일 3-4회씩 뒷물을 하면 5일-10일이내에 소양, 발적, 부종 및 조이는 통증이 소실된다.
2) 창이자를 물에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40℃정도로 덥혀서 하루 여러 번 뒷물을 한다.
3) 사상자 50g에 물 한사발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뒷물을 자주 한다.
4) 황백, 감초 각 25g에 물 1사발을 붓고 달여서 뒷물을 한다.
5) 오배자 50g에 물 1사발을 붓고 달인 물은 외음부를 씻고 찌꺼기는 소존성으로 태워서 가루를 내어 당처에 뿌린다.
6) 사상자, 천초, 오배자, 백반 동량을 물에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아침 저녁으로 좌욕을 한다.
@소복(少腹배복)
@혈가(血瘕개생충병하, 뱃병가)
#복토(Fu Tu伏兎ST32:Crouching Rabbit)는 하지냉증에 침놓는 자리로, 각기(脚氣)와 통비(痛痹)에도 침을 놓는다. 하지만 혈자리에 창절(瘡癤)이 생겼으면 애쎠 치료할 필요 없다.
伏兎主刺腿膝冷, 兼刺脚氣痛痹風, 若逢穴處生瘡癤, 說與醫人莫用功.
복토주자퇴슬냉, 겸자각기통비풍, 약봉혈처생창절, 설여의인막용공.
@각기(脚다리각氣):비타민 B1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실조 증세의 한가지로 다리가 붓고 마비되어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몾하게 되는 병증.
@통비(痛아플통痹저릴비):사지의 뼈마디가 저리고 쑤시는 병.
@창절(瘡부스럼창癤부스럼절).
#음시(Yin Shi陰市ST33:Yin Market)는 사지무력(四肢無力)과 불인(不仁)에 자침하는 자리다. 허리와 무릎이 물에 빠진 듯 찬 증상과 더불어 두 발의 구련(拘攣)과 마비, 한산(寒疝)과 견디기 힘든 소복통(少腹痛)을 치료한다.
陰市主刺痿不仁, 腰膝寒如注水侵, 兼刺兩足拘攣痹, 寒疝少腹痛難禁.
음시주자위불인, 요슬한여주수침, 겸자양족구련비, 한산소복통난금.
@불인(不仁):몸의 한부분이 마비 되어 움직이기 어려움.
@구련(拘개구攣결릴련)
@한산(寒疝):산증의 한가지, 불알아 차고 부어 몹시 아픔.
@소복통(少腹痛):아랫배의 통증.
#족삼리(Zu San Li足三里ST36:Leg Three Li)는 풍습(風濕)을 치료한다. 허증(虛症)으로 인한 이롱(耳聾)과 상아통(上牙痛), 열격(噎膈)으로 인한 팽창(膨脹)과 수종(水腫), 천급(喘急)을 치료하며, 아울러 한습(寒濕)으로 인한 각기(脚氣)와 풍비(風痹)를 치료한다.
足三里治風濕中, 諸虛耳聾上牙痛, 噎膈膨脹水腫喘, 寒濕脚氣及風痹.
족삼리치풍습중, 제허이롱상아통, 열격팽창수종천, 한습가기급풍비.
@열격(噎목맬열膈흉격격).
@팽창(膨부풀팽脹배부를창): Swelling, inflation.
@수종(水腫종기종): Dropsy ,edema: 부종.
@천급(喘헐떡거릴천急급할급):심한 천식.
@각기(脚氣): 비타민 B1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실조 증세로 다리가 붓고 마비되어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몾하게 되는 병증.
@풍비(風痹): 或은 周痺(주비)라고도 하며 俗稱(속칭) 走注(주주)라고 함. 痺證(비증)의 類型(유형)의 하나이다. 臨床表現(임상표현)은 肢體(지체)가 痠痛(산통)하고 疼痛(동통)이 流注(유주)하여 定處(정처)가 없다. 病因(병인)은 風寒濕(풍한습)의 三邪(삼사)중에서 風邪가 偏勝(편승)하며 風邪가 流注(유주)하기 때문에 생긴다. 故(고)로 『素問소문』「痺論비론」에서 “其風氣勝者(기풍기승자) 爲行痺(위행비)”라 하였다.
#해계(Jie Xi解谿ST41:Gully Stream Divide)는 풍수(風水)를 주치하는데, 얼굴과 배, 다리가 붓고 천식과 기침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기역(氣逆)으로 인한 열(噎)과 두풍현훈(頭風眩暈)을 치료하며, 슬픔으로 인한 모든 전광(癲狂)과 경계(驚悸)를 치료한다.
解谿主治風水氣, 面腹脚腫喘嗽頻, 氣逆發噎頭風眩, 悲切癲狂悸與驚.
해계주치풍수기, 면복각종천수빈, 기역발열두풍현, 비절전광계여경.
@열(噎목맬열)
@전광(癲미칠전狂미칠광)
@경계(驚놀랄경悸두근거릴계):걸피하면 놀라는 증세.
#함곡(Xian Gu陷谷ST43:Lower Valley)은 수종(水腫)을 주치한다. 더불어 애기(噯氣)와 산통(疝痛), 복장명(腹腸鳴), 무한(無限), 진한(振寒), 담학(痰瘧)을 치료한다. 위맥(胃脈)이 현(弦)할 때 이 혈을 사(瀉)하면 편안해진다.
陷谷主治水氣腫, 善噫痛疝腹腸鳴, 無汗振寒痰瘧病, 胃脈得弦瀉此平.
함곡주치수기종, 선희통산복장명, 무한진한담학병, 위맥득현사차평.
@수종(水腫):몸의 조직 사이나 체강 안에 림프액, 장액이 많이 괴어 몸이 붓는 병.
@애기(噯가릴애氣):岳全書(악전서)·雜證謨(잡증모)에서 “噯者(애자) 飽食之息(포식지식) 則噯氣也(칙애기지………”라 하였다. 대개 肝胃不和(간위부화) 或은 飽食(포식)으로 胃氣가 阻鬱(조체)된 所致(소치)이다. 그 症狀(증상)은 胃中에서 氣가 올라오는 듯이 약간의 性向(성향)이 나오는데 자주 딱꿀질하는 呃逆(딸꾹질애,역)과는 다르다.
@산통(疝痛):복부 내장의 질환으로 갑자기 격렬하게 일어나는 간헐적 복통.
@복장명(腹배복腸창자장鳴울명).
@무한(無限한정할한):infinity.
@진한(振떨칠진寒):추 워서 全身(전신)이 振動(진동)함을 形容(형용)한 것이며 추워서 몸이 떨린다는 뜻이다.
@담학(痰瘧):비교적 重型(중형)의 瘧疾(학질)이다. 臨床表現(임상현상)은, 發作時(발작시)에 寒熱(한열)이 交代(교대)로 發(발)하고, 熱多寒少(열다한소)하며, 頭痛眩暈(두통현훈)하고, 痰多嘔逆(담다구역)하며, 脈象(맥상)이 弦滑(현활)하다. 重症(중증)인 경우는 昏迷抽搐(혼미추축(경련할축)을 나타낸다. 腦型瘧疾(뇌형학질)의 類(류)이다.
#내정(Nei Ting內庭ST44:Inner Court)은 비만(痞滿)을 주치한다. 복명(腹鳴)이 넓게 나는 데에는 뜸을 뜨고, 부녀자의 고창(蠱脹)에는 자침한다. 월경으로 인한 두훈(頭暈)과 복통(腹痛)을 편안하게 한다.
內庭主治痞滿堅, 反右繆灸腹響寬, 兼刺婦人食蠱脹, 行經頭暈腹疼安.
내정주치비만견, 반우무구복향관, 겸자부인식고창, 행경두훈복동안.
@비만(痞결릴비滿):막혀서 그득한 것을 표한한 말이다.BY 박정걸.
@복명(腹鳴):사람이나 짐승의 배에서 나는 소리, Borborygmi, 배속의 장운동의 증가로 장속의 가스가 이동하면서 나는 소리.
@고창(蠱독고脹배부를창): 虫鼓(충고) :寄生蟲(기생충)으로 인해 예컨데 吸血虫等(흡혈충등)에 의해 惹起(야기)되는 鼓脹(고창)을 虫鼓(훼고)라 하며 蠱脹(고창)이라고도 함. 或은 蠱(고)라고도 略稱(약칭)함. 臨床表現(임상표현)은 처음에 腹部(복부)가 脹滿(복만)하며 脇下(협하)에 痞塊(비괴)가 있고 以後(이후) 腹水(복수)가 점차 增加(증가)하면 面色(면색)이 蒼白(창백) 或은 萎黃(위황) 或은 晦黑(회흑)해지고 肌肉(기육)이 消瘦(소수)하며 食量(식량)이 減少(감소)되고 倦怠無力(권태무력)해진다. 病因(병인)은 忠毒(충독)이 內部(내부)에 結聚(결취)되어 肝氣(간기)가 損傷(손상)되고 脈絡(맥락)이 瘀塞(어색)되어 升降(승강)에 異常(이상)을 招來(초래)하여 淸濁(청탁)이 뒤섞이기 때문이다.
#여태(Li Dui厲兌ST45:Sever Mouth)는 시궐증(尸厥症)을 주치한다. 경광(驚狂), 면종(面腫), 후비풍(喉痹風)과 더불어 발이 차고 무릎이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 꿈꾸고 가위 눌리는 데에는 은백(隱白(脾))을 함께 취한다.
厲兌主治尸厥症, 驚狂面腫喉痹風, 兼治足寒膝臏腫, 相偕隱白魔魘靈.
여태주치시궐증, 경관면종후비풍, 겸치족한슬빈종, 상해은백마염령.
@시궐증(尸厥症):갑자기 쓰러져서 인사불성이 되어 마치 죽은 것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1. @경광(驚놀랄경狂미칠광):쉽게 잘 놀래는 증상.
@면종(面腫):얼굴에 난 종기나 부스럼을 통틀어 이르는 말.
@후비풍(喉목구멍후痹저릴비風)
#비양(Fei Yang飛陽:BL58:Taking Flight)은 걷기 어려운 것을 주치하며,
飛陽主治步履難.
비양주치보이난.
#금문(Jin Men金門BL63:Metal Gate)은 능히 전간(癲미칠전癎경풍간)을 치료한다.
金門能療病癲癎.
금문능료병전간.
#곤륜(Kun Lun崑崙BL60:Kunlun Mountains)은 발과 다리가 벌겋게 부어 오르는 것을 주치하고, 더불어 치통(齒痛)을 치료하여 능히 편안하게 한다.
足腿紅腫崑崙主, 兼治牙痛亦能安.
족퇴홍종곤륜주, 겸치아통역능안.
#신맥(Shen Mai申脈BL62:Extending Vessel)은 낮에 발작하는 전간(癲癎)을 주치하는데, 금침(金針)으로 자침하면 병이 가라 앉으며 낫기 시작한다. 윗니의 치통(齒痛)과 발이 붓는 것 또한 이 혈에 자침하면 저절로 편안해진다.
晝發癎症治若何, 金針申脈起沉疴, 上牙痛兮下足腫, 亦針此穴自和平.
주발간증치약하, 금침신맥기침아, 상아통해하족종, 역침차혈자화평.
#환도(Huan Tiao環跳GB30:Jumping Circle)는 중풍(中風)을 주치하며, 넓적다리와 무릎의 근련(筋攣결릴련)과 요통(腰痛)을 치료한다.
環跳主治中風濕, 股膝筋攣腰痛疼.
환도주치중풍습, 고슬근련요통동.
#위중(Wei Zhong委中BL40:Bend Middle)은 점자출혈(點刺出血)하여 치료하는 혈로 이미 증명되었으며, 경락을 개통(開通)시키는 데 가장 상응하는 혈이다.
委中刺穴醫前證, 開通經絡最相應.
위중자혈의전증, 개통경락최상응.
#양릉천(Yang Ling Quan陽陵泉GB34:Yang Mound Spring)은 편풍(偏風)을 주치하며, 아울러 곽란(癨亂)과 전근통(轉筋痛)을 치료한다.
陽陵泉治痹偏風, 兼治霍亂轉筋疼.
양릉천치비편풍, 겸치곽란전근통.
@곽란(癨亂):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를 하는 급성 위장병.
@전근통(轉구를전筋痛)
#승산(Cheng Sheng承山BL57:Mountain Support)은 모든 치루(痔漏)에 자침하는 자리로, 한냉전근(寒冷轉筋)을 영험하게 치료한다.
承山主針諸痔漏, 亦治寒冷轉筋靈.
승산주침제치루, 역치한낸전근령.
@치루(痔漏):치질의 한 가지. 항문 주위에 작은 구멍이 생겨 고름이나 똥물이 흐르는 병;an anal fistula.
#양보(Yang Gu陽輔GB38:Yang Assistance)는 무릎의 산통(酸실산痛)을 주치한다. 허리에 힘이 없는 증상과 부종(膚살갖부腫종기종)과 근련(筋攣)의 모든 위비(痿痹)를 치료한다. 편풍(偏風)으로 인한 반신불수(半身不隨)에 뜸을 뜨면 심오한 효과가 있다.
陽輔主治膝酸痛, 腰間溶溶如水侵, 膚腫筋攣諸痿痹, 偏風不遂灸功深.
양보주치슬산통, 요간용용여수침, 부종근련제위비, 편풍부수구공심.
#현종(Xuan Zhong懸鍾GB39:Suspended Bell)은 위열(胃熱)을 주치한다. 복창(腹배복脹배부를창)과 늑간통(肋갈비間痛), 각기(脚다리각氣)를 치료하며 아울러 다리의 습비(濕痹)와 소양(瘙종기소痒알을양)을 치료한다. 발가락의 동통에 자침하면 통증이 멈춘다.
懸鍾主治胃熱病, 腹脹肋痛脚氣疼, 兼治脚脛濕痹痒, 足指疼痛針可停.
현종주치위열병, 복창늑통각기동, 겸치각경습비양, 족지동통침가정.
@각기:비타민 B1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실조 증세로 다리가 붓고 마비되어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몾하게 되는 병증.
#구허(Qiu Xu丘墟GB40:Mound of Ruins)는 흉협통(胸脇痛)을 주치한다. 허리와 다리가 땅기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신장(腎臟)과 발목의 통증은 물론 전근(轉筋)으로 걸을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丘墟主治胸脅痛, 牽引腰腿髀樞中, 少腹外腎脚腕痛, 轉筋足脛不能行.
구허주치흉협통, 견인요퇴비추중, 소복외신각완통, 전근족경부능행.
#족임읍(Zu Lin Qi足臨泣GB41:Foot Governor of Tears)은 경루(經漏)와 액하(腋下)의 마도창(馬刀瘡), 가슴과 옆구리의 유옹(乳癰)과 부녀자의 월경불리(月經不利)를 잘 주치한다.
經漏腋下馬刀瘡, 連及胸脅乳癰瘍, 婦人月經不利病, 下臨泣穴主治良.
경루약하마도창, 연급흉협유옹양, 부인월경부리병, 부임리혈주치량.
@경루(經漏):월경의 피가 멈추지 않는 병.
@액하(腋겨드랑이액下)
@마도창(馬刀瘡부스럼창)
@유옹(乳癰): 乳房部位(유방부위)에 發(발)하는 癰(악창옹)을 「乳癰」이라 統稱(통칭)하며,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이다. 대개 産後(산후)의 婦女(부녀)에게서 볼 수 있으며, 그 病因(병인)은, 肝氣鬱結(간기울결), 胃熱壅滯(위열옹체)에 起因(기인)하는 경우가 있고, 或은 乳汁積滯(유즙적체)에 起因(기인)하는 수가 있으며, 或은 乳兒(유아)가 吸乳時(흡유시)에 乳頭(유두)를 損傷(손상)하여 熱毒(열독)에 感染(감염)되거나, 或은 産後(산후)에 血虛(혈허)한데 外邪(외사)를 感受(감수)하여, 濕熱(습열)이 蘊結(온결)되고, 氣血이 凝滯(응체)되기 때문에 생긴다. 대개는 乳房(유방)의 外上方(외상방)에 생기며, 그 症狀(증상)은, 처음에는 硬結脹痛(경결창통)하고 焮熱(흔열)하며, 惡寒(악한) 壯熱(장열)을 隨伴(수반)한다. 一週間(일주간)에 成形(성형)이 되고, 10日前後에 化膿(화농)한다. 만약 切開(절개)하지 않으면, 外向(외향) 自潰(자궤)되어, 膿(농)이 다 나온 後에 收口(수구)된다. 少數(소수)의 化膿性瘻管(화농성루관)을 形成(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乳漏유루」라 한다. 古代醫家(고대의가)들은, 産後(산후)의 哺乳期(표유기)에 앓는 乳癰(유옹)을 「外吹乳癰외취유옹」이라 하였고, 姙娠期(임신기)에 앓는 乳癰(유옹)을 「內吹乳癰내취유옹」이라 하였다. 內吹乳癰은 外吹乳癰에 比(비)하여, 消散(소산)되기 어렵고, 化膿(화농)도 더디며, 潰破後(괴파후)에는 언제나 産後(산후)에 이르러서야 收口(수구)된다.
#협계(Xia Xi俠谿GB43:Clamped Stream)는 흉협만(胸脇滿)을 주치한다. 상한열병(傷寒熱病)에 땀이 나지 않는 증상과 아울러 목적(目赤)과 이롱(耳聾)을 치료하며, 아래턱이 붓고 입을 벌리지 못하는 구금(口噤)을 없앤다.
俠谿主治胸脅滿, 傷寒熱病汗難出, 兼治目赤耳聾痛, 頷腫口噤疾堪除.
협계주치흉협만, 상한열병한난산, 겸치목적이롱병, 암종구금질감제.
#족규음(Zu Qiao Yin足竅陰GB44:Yin Portals of the Foot)은 협간통(脇間痛)을 주치한다. 기침이 멈추지 않고 열(熱)이 번조(煩괴로워할번躁섬급할조)한 것을 치료한다. 옹저(癰악창옹疽막을저)와 두통(頭痛), 이롱(耳聾)과 더불어 후비(喉목구멍후痹)와 설강(舌强)으로 말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竅陰主治脅間痛, 欬不得息熱躁煩, 癰疽頭痛耳聾病, 喉痹舌强不能言.
규음주치협간통, 해부득식열조번, 옹저두통이롱병, 후비설강불능언.
'건강과 지혜·´″°³оΟ♡ > 건강♡뷰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죽음의 위기 넘길 수 있는 생활 상식들 (0) | 2012.06.17 |
---|---|
[스크랩] 피로를 풀어주는 귀 맛사지법과 스트레칭 (0) | 2012.06.10 |
[스크랩] 혈액이 오염되면 이처럼 됩니다 (0) | 2012.05.25 |
[스크랩] 항문 건강 10계명 (0) | 2012.05.25 |
[스크랩] 젊음을 유지하는 목덜미 손질 (0) | 201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