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창고·´″°³оΟ♡/패션♡직업자료방

B2B 전자상거래(전자결제) 개요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9. 3. 2.

1. B2B 전자상거래(전자결제) 개요

 

구매기업이 구매대금을 판매기업에 결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신용카드 결제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음.

(1) B2B 전자결제는 부여 받은 한도 범위에서 큰 금액의 결제 가능, 수수료 낮음.

(2) 금융기관을 통해 최장 180일까지 여신 사용 가능.

 

à 신보, 기보, 보증재단 등 보증기관에서 B2B 전자결제에 대한 보증서 발급을 통해 구매 기업의 신용을 보강하고 금융기관은 이를 통해 여신 한도를 대폭 확대.

 

2. B2B 전자상거래 과정

 

(1) B2B 전자상거래 이용 예정 기업의 보증 신청 (신용보증기금, 기보, 보증재단 등의 보증기관)

(2) 판매기업, 구매기업이 관련 구매자금상품을 은행에서 가입 (Ex) 구매자금대출, B2B구매자금

(3) 판매기업, 구매기업이 e-MarketPlace 회사 지정, 해당 회사 플랫폼 가입 및 계약 체결

(4) 매매계약이 금융기관, 보증기관으로 전송, 구매한도 내에서 대출 발생

(5) 발생된 대출로 판매기업에게 판매대금 지급.

(6) 구매기업은 최장 180일 이내에 자유롭게 금융기관 구매자금 대출금 상환

 

3. 참여주체 별 기대효과

 

> 구매기업: 최장 180일의 자금대출을 활용, 현금결제로 인한 교섭력 증가, 자금 순환 개선

> 판매기업: 즉시 대금을 현금으로 회수 가능, 대금 회수 리스크 제로

> 보증기관 및 정부: 효과적인 중소기업 세수 확보

> 은행: 보증기관의 보증으로 대출상환 리스크 감소, 전자 문서 및 보증서 페이퍼워크 최소화

 

4. 신용보증기금의 B2B 전자상거래보증

 

(1) 개요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일반보증에 비하여 우대 지원 실시

설명: http://postfiles13.naver.net/20140703_220/shjs2014_14043730562475mEV2_PNG/111.png?type=w3

 

 

 

(2) 보증종류

설명: http://postfiles8.naver.net/20140703_279/shjs2014_1404373084690g5zf3_PNG/2222.png?type=w3

설명: http://postfiles10.naver.net/20140703_185/shjs2014_1404373084849WVwU6_PNG/3333.png?type=w3

 

[출처 : 신용보증기금]

 

à 두 가지 보증의 차이점은 대출보증의 경우, 금융기관이 직접 대금을 대납하는 케이스로 판매기업이 중소기업이고 다수의 거래처를 보유한 경우 사용. 반면, 담보용보증은 대기업 등 고정거래처와 외상 방식의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거래처에 대하여 부담하는 외상대금 지급채무를 보증하는 제도. 쉽게 생각하면, 거래처가 대기업이며 단일 회사인 경우, 후자를 사용하고, 아닌 경우 전자를 사용.

 

B2B 결제

B2B결제는 기업 간에 실제로 어음을 주고 받는 번거로움과 은행창구에서의 불편한 대출절차를 해결하고자 만든 금융서비스로 인터넷뱅킹 또는 펌뱅킹을 통한 온라인방식으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B2B결제수단으로는 구매자금대출, 구매카드, 전자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전자외매체), 전자채권, 전자어음 등이 있으나 대금청구방식, 대금청구주체, 차입주체, 금리부담주체 등에서 약간씩의 차이가 있을 뿐 기능과 사용방법이 비슷하다. B2B결제수단은 온라인 어음 및 온라인 할인(또는 대출)의 이중적 성격을 가진 결제수단으로 이해하면 된다.

1) 전자어음
전자어음은 실물어음과 동일한 성격을 가지면서 종이어음의 불편과 폐해를 해결하기 위해 2005 9월 도입된 결제수단이다. 전자어음은 '전자어음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행하는 제도로 금융결제원이 전자어음관리기관으로 역할을 한다.

2) 구매자금대출
구매자금대출은 구매기업이 물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지급하고자 할 때에 거래은행과 사전에 약정한 금액내에서 대출을 실행하면 은행이 판매기업에게 바로 대그을 지급하는 온라인 대출제도이다. 거래은행은 대출만기일에 구매기업으로부터 대출금을 자동으로 상환받는다. 구매자금대출은 형식은 대출이나 실제로는 은행이 제공하는 기업간 결제서비스의 성격을 띤다. 구매자금대출은 순구매방식과 역구매방식으로 나누어 진다.
순구매방식은 일상적인 구매자금대출이 순구매방식이고 역구매방식은 판매기업이 인터넷뱅킹을 통해 구매기업에게 판매대금의 지급을 먼저 요청하고 구매기업이 이를 인수한 후에 자기자금 또는 구매자금대출을 실행하여 대금지급을 승인하면 거래은행에서 판매기업에게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3) 구매카드
구매카드는 구매기업이 물품구매대금을 일반 신용카드와 같은 구매카드로 결제하고 판매기업은 지급은행(또는 카드사)으로부터 대금을 지급받는 결제방식이다. 일반신용카드와 비교해 보면 구매기업이 카드회원이고 판매기업이 가맹점으로서 결제수수료를 가맹점인 판매기업이 부담하기 때문에 대기업에서 납품업체를 상대로 많이 사용하는 결제방식이다. 구매카드로 결제 받은 판매기업(납품업체)은 이를 할인하여 바로 현금화하거나 아니면 만기일에 자동으로 대금을 지급받는다. 순구매방식은 구매내역을 등록하고 다수의 판매기업을 대상으로 결제해 주는 구매자중심의 결제방식이다. 역구매방식은 판매기업이 판매내역을 등록하고 다수의 구매기업으로부터 대금을 결제받는 판매자중심의 결제방식이다.

4) 전자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전자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은 구매기업과 판매기업간의 상거래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을 담보로하여 거래은행이 판매기업에게 대금을 선지급(대출 또는 할인)하고 만기일에 구매기업으로부터 대출금을 상환받는 온라인 거래방식이다. 대기업과 협력업체가 거래은행과 제휴하여 대기업이 지급금액과 결제일 등의 정보(이를 '전자외상매출채권'이라고 한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협력업체는 대기업의 결제예정정보를 담보로 은행으로부터 대금을 선지급 받는다. 전자외담대는 대체로 우량 대기업만을 대상으로 제도가 운영되고 특정거래은행 중심의 서비스로서 은행간에는 호환성이 없다.
순구매방식은 구매기업이 판매기업을 대상으로 구매내역과 전자채권내역을 등록하면 판매기업은 전자채권을 수취한 후에 이를 담보로 거래은행으로부터 대금을 지급받는 결제방식이다.
역구매방식은 판매기업이 구매기업을 상대로 판매내역과 전자채권내역을 등록한 후에 이를 거래은행에 양도하여 대금을 지급받고 거래은행은 만기에 구매기업으로부터 대금을 상환받는 결제방식이다.

5) 전자채권
전자채권은 금융결제원이라는 중간결제기구를 통해 구매기업과 판매기업이 상이한 은행을 거래하더라도 온라인결제가 가능한 결제수단이다. 구매기업이 거래은행(발행은행) 인터넷뱅킹에서 판매기업을 채권자로 하는 전자채권을 발행하면 판매기업은 자기 거래은행(보관은행)에서 구매기업으로부터 받은 전자채권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담보로 거래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자금을 결제받는 방법이다. 전자채권은 순구매방식만 있다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