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유용한 자료·´″°³оΟ♡/교육♡자료195

[스크랩] 그 시절에는 이랬습니다 그 시절에는 이랬습니다. 이 자료는 69년도 아이들의 생활상을 담은 사진들입니다. 당시는 가난이 무엇인지도 모르며 힘겹게 살아오신 이분들은, 현재 50을 전 후 한 연세들이 되셨을 겁니다.. 고무신에 양말도 신지않고 지게로 나무를 지고 있는 모습이 가슴 찡합니다 바람이 불면 힘에 .. 2013. 4. 2.
우리나라 화폐 변천사 ▣ 조선말기 및 대한제국 시대의 주화 1. 대동은전  대동전은 은으로 제작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화폐로서 상평통보와 같은 가운데 구멍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1882년(고종19년) 7월에 발행되어 3가지 액면으로 대동1전, 대동2전, 대동3전이 있으며, 뒷면에는 주전소인 戶曹에서 제조되었다하여 뒷면 가운데 원안에 戶字가 선명하게 각인되어 있다. 또한 앞면의 글자는 對讀형식을 하고 있으며 압인이 아닌 주물형식으로 제조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평통보를 제조하는 기술과 비교하여 진일보한 기술은 찾을 길이 없다. 하지만 뒷면 중앙에 칠보를 덮어서 새로운 화폐형식을 받아 들였다는데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칠보색상은 흑색, 청색, 녹색을 포함하여 5가지 색을 띠고 있다. 대동은전은 발행당시 주변국 일본의 일원은화,.. 2012. 12. 23.
[스크랩] 자랑 스런 대한민국 자랑 스런 대한민국 ★자랑스런 대한민국★ * 위치 : 아시아 대륙 동쪽 끝 * 수도 : 서울 (Seoul) * 면적: 9만 9538㎢(남한) *인구: 4천850만, *언어 :한국어 1. 한글사용 인구수는 세계 12위 한국어를 모국어로 삼아 쓰는 이의 수는 표준중국어, 에스파냐어, 벵갈어, 영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러시.. 2012. 11. 19.
[스크랩] 대한민국의 자존심!! 자랑스런 대한민국 * 위치 : 아시아 대륙 동쪽 끝 * 수도 : 서울 (Seoul) * 면적: 9만 9538 (남한) *인구: 4천850만, *언어 :한국어 1. 한글사용 인구수는 세계 12위 한국어를 모국어로 삼아 쓰는 이의 수는 표준중국어, 에스파냐어, 벵갈어, 영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 자바.. 2012. 8. 25.
[스크랩] 추억의 아이템 출처 : 원단섬유직물쟁이들의 모임글쓴이 : 독종(안순종) 원글보기메모 : 2012. 3. 6.
[스크랩] 삼재三災 & 손없는날 & 윤달 삼재(三災)라 함은 천살(천殺) 지살(地殺) 인살(人殺)을 두고 삼재라 한다 삼재는 어느 누구나 12년마다 누구에게나 한번씩은 돌아오게 되어 있고 세상에 삼재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한 사람도 없으며 삼재에 대한 일반적 상식을 잘 알아두었다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생활하시는데 참고 .. 2012. 3. 4.
[스크랩] 인생에 대한 깊은 생각 (오른쪽 상단의 음악플레이어의 스톱버튼(세번째버튼)을 눌러주세요..) 글이 제법 깁니다. 제 블로그에 어울리지 않는 기~인 글입니다. 하지만 인생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다소(?) 길지만 정독해 보시고 인생에 대하여 깊이있는 생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톨스토이의 .. 2012. 3. 1.
[스크랩] 알아야할 한자상식 알아야 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 2012. 2. 23.
꼭 알아야 할 생활예절 촌수 따지는 법(계촌법) 예절이란 무엇인가? 호칭과 지칭 촌수 따지는 법 계촌법 관계 명칭 고금관작대조표(古今官爵對照表) 조선조 품계-내외별 관작명 한국은 예절의 나라 예절의 기본지식 예절과 에티켓 예절의 종류 예절의 공부와 실천 요령 호칭과 지칭 친족의 호칭 며느리와 시댁 외가의 관계 명칭 처가와 사위의 관계 사돈간의 호칭 배례법과 경례 및 악수의 예절 예절의 방위와 상하석 공통예절 읍례와 굴신례 절의 종류와 절하는 법 경례의 종류와 방법 악수의 방법 예절의 방위 남좌여우는 남동여서 상하석의 기준 좌석 배치의 실제 '우리'로 더불어 사는 길 위계질서 사람의 기본윤리 공손한 자세 공수하는 방법 상장례 제례 문답으로 알아보는 예절상식 고례의 상장례 상장례의 기본정신 초종 목욕, 습, 염, 입관 상복의 제도.. 2012. 2. 21.
혼인식(婚姻式) 결혼식(結婚式) 나. 혼인(婚姻)과 결혼(結婚) 남녀가 만나 부부가 되는 것을 혼인(婚姻)이라 한다. 혼(婚)자는 남자가 장가든다는 뜻이고, 인(姻)자는 여자가 시집간다는 뜻으로 혼인(婚姻)은 남자가 장가를 가고 여자가 시집을 간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헌법이나 민법에서도 혼인이라 한다. 결혼(結婚)은 남자가 장가든다는 뜻만 있어 남존여비(男尊女卑)사회에서 쓰는 말이다. 또한 이 단어는 일제의 잔재로써 일제이후에 쓰기 시작한 말이며 쓰지않아야 할 단어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혼인(婚姻)이라 말해야 바른 표현이다. 다. 혼인의 정신 혼인예식에는 두 가지의 정신이 구현되어야 한다. ①삼서정신(三誓精神) • 서 부모(誓父母) : 자기를 존재하게 하신 조상과 부모에게 서약한다. • 서 천지(誓天地) : 양(陽)과 음(陰)의 기본인.. 2012. 2. 19.
[스크랩] 옛날생각 많이 나시죠 출처 : 배움의장 쉼터글쓴이 : 이지스 원글보기메모 : 2012. 2. 13.
편리한 색상표 Shades of Blue 색 이름 R/G/B 16진수 색상 예 AliceBlue 240;248;255 F0F8FF BlueViolet 138;43;226 8A2BE2 CadetBlue 95;158;160 5F9EA0 CadetBlue1 152;245;255 98F5FF CadetBlue2 142;229;238 8EE5EE CadetBlue3 122;197;205 7AC5CD CadetBlue4 83;134;139 53868B CornflowerBlue 100;149;237 6495ED DarkSlateBlue 72;61;139 483D8B DarkTurquoise 0;206;209 00CED1 DeepSkyBlue 0;191;255 00BFFF DeepSkyBlue1 0;191;255 00BFFF De.. 2012. 2. 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