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선적서류2

포워드를 통한 수입절차 포워드를 통한 수입절차 (1) 선적서류 입수 수출국에서 선박이 출항하게 되면 수입국의 포워더는 수출국에 있는 파트너 포워더로부터 다음의 제반서류와 함께 선적통지(Shipping Advice)를 받는다. 일반 적으로 수출국 송하주가 수하주에게 송부한 제반서류는 화물이 도착하기 전에 수하주에게 도착하게 된다. ○ 제출서류 · 선적서류송부서(Covering Letter) · House B/L Copy · Master B/L Original & Copy ·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 포장명세서(Packing List) · 컨테이너내 적부도(Container Load Plan) · 적하목록(Cargo Manifest) · 대변/차변전표(Credit/Debit Note)또는 정산서 등 (2) .. 2013. 11. 20.
FTA C/O (원산지증명서) 발급 실무. 대행.서비스 원산지증명서란? ① 원산지란 물품을 생산한 나라(동ㆍ식물이 성장한 나라) 또는 물품의 국적을 의미하며 그 물품의 원산지를 증명하는 문서를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라 함. ② 즉 “원산지증명서”라 함은 수출물품이 우리나라에서 재배, 사육, 제조 또는 가공된 것임을 증명하는 문서를 말함 원산지증명서 유형 원산지증명서 유형 비특혜 원산지증명서 (발급기관: 대한상공회의소) 특혜 원산지증명서 (발급기관: 세관, 대한상공회의소) 관세양허대상이 아닌 유상 또는 무상으로 수출하는 물품에 대하여 발급, 해외 바이어의 자국내 원산지표시문제 및 불공정무역행위(덤핑) 조사 등을 이유로 요구하게 된다. ① 자유무역협정(FTA)에 의한 관세양허 수출품의 원산지증명 ☞ 현재 한-싱 FTA, 한-아세안 .. 2013. 11. 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