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자료·´″°³оΟ♡/교육♡자료

[스크랩] 각종 지방 쓰는법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1. 1. 5.
각종 지방 쓰는법
           
                                                 
지방 쓰는 법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할 수 있다.  사진이 없을 경우 지방으로 대신한다.
 ※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크기는 가로 6cm, 세로 22cm로 한다.
 ※ 일반적으로 남자 고인의 경우 ‘顯考學生府君 神位’를 쓰는데 ‘학생’이란 말은 과거를
     준비중인 사람들을 지칭하던 용어이다. 따라서 벼슬이 있으면 ‘學生’ 대신에 벼슬의
     관직(예를 들면 ‘崇祿大夫’등)을 쓰고 그 부인은 ‘孺人’ 대신에 貞敬婦人을 쓴다.
 ※ 여성의 경우 조선시대에는 남편의 벼슬에 따라 봉작을 사용하였으나 오늘 날에도
     남편의 관직 급수에 해당하는 부인의 벼슬 관작을 사용하는 것은 예법에 맞지 않는다.
 ※ 일정한 직함이 없는 여성은 유인(孺人)이라고 쓴다.
 ※ ‘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쓴다.
 ※ 고위(考位)는 성씨를 쓰지 않지만, 비위( 位)는 성씨를 쓴다. 이는 아버지는 두 분일 수
     없지만, 어머니는 아버지가 재취(再娶), 삼취(三娶) 했을 경우 두 분 이상일 수 있기에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한 분이라도 의례의 통일성을 위해서 성씨를 쓴다. 
 ※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이다. 한 할아버지에 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 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 ‘考’는 사후의 ‘父’를 뜻하며 ‘ ’는 사후의 母 를 뜻한다.
 
※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는 것이 기본이다.
 ※ 합설(合設)이 아니고 단설(單設)인 경우 부(父)의 견본 지방처럼 한 분만 쓰면 된다.
 ※ 부(현고학생부군 신위)
     부모(현고학생부군 신위, 현비유인 ○○○씨 신위)
     백부모(현백부학생부군 신위, 현백모유인 ○○○씨 신위)
     조부모(현조고학생부군 신위, 현조비유인 ○○○씨 신위)
     증조부모(현증조고학생부군 신위, 현증조비유인 ○○○씨 신위)
     고조부모(현고조고학생부군 신위, 현고조비유인 ○○○씨 신위)
     남편(현벽학생부군 신위)
     아내(고실유인 ○○○씨 신위)
     형(현형학생부군 신위)
     형수(현형비유인 ○○○씨 신위)
 ※ 아래의 견본 지방을 참고해서 파란색 부분을 해당 본관성씨로 고쳐 쓰면 된다.


 

 
출처 : 배움의장 쉼터 카페
글쓴이 : 조약돌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