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³оΟ♡/자동차♡상식

[스크랩] 엔진오일의 분류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2. 3. 8.

흔히 윤활유라고도 불리는 엔진오일은 말 그대로 윤활을 하는 것과 동시에 냉각, 방청, 밀봉, 엔진 내부의 충격 흡수, 청정 등의 역할을 하며 엔진과 같은 고온의 악조건에서도 오랜동안 특성을 발휘해야한다.

 

보통 "광유 - VHVI - PAO합성유 - Ester합성유"  순으로 고가이며 성능도 우수하다.


 

0. 엔진오일의 분류 (미쿡 석유협회)
  Group 1 & 2 : Mineral oil 광유
  Group 3       : VHVI oil (정제 광유)
  Group 4       : PAO 합성유
  Group 5       : Ester 합성유
       (VHVI의 합성유, 광유 논란으로 인해 독립 Group3 로 재분류됨)

 

 

1. 광유계 오일(Mineral Oil)

원유를 증류탑에서 증류시 증기압이 높은 순서대로 (아래 그림 참조)
LPG, 에틸렌,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기유(base oil), 아스팔트, 피치 순으로 분리된다.
기유(혹은 중유)는 광유 및 VHVI의 원료, 에틸렌은 PAO 합성유의 원료이다.


1.1  광유 (Mineral Oil)

광유계 엔진오일은 기유(base oil)에 각종 첨가제를 섞어서 제조.
어떤이는 중유를 정제해 만든 것이 파라핀유, 즉 광유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저온에서 증류되는 기유는 기본적으로 불순물을 많이 포함하고(20% 정도) 있어 광유 엔진오일은 고온에서 점도 특성이 변하고 탄화가 잘 되고 슬러지가 발생. 이런 점도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제에는 점도지수 향상제가 들어가는데 이것의 첨가량에 따라 점도지수가 달라진다. (5W30 ==> 5W40)

 

1.2 VHVI(very high viscosity index): 광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

VHVI 오일은 기유를 한번 더 정제하고 고온, 고압 처리하고 점도지수를 강화한 정제광유.
VHVI는 일반광유보다 우수하지만 100% 합성유인 PAO, 에스테르 보다는 성능이 떨어진다. VHVI는 분자 합성공정을 거치지 않아 분자구조식이 광유와 동일하여 합성유로 분류할 수 없지만 시장에서는 사실상 저렴한 합성유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엔진오일이다.  광유보다는 가격이 비싸며, 지크XQ, 쌍용SSU, KIXX, 발보린 터보 등이 속한다.

 


2.합성유 (Synthetic 혹은 Full Synthetic)

합성유는 말 그대로 분자구조를 인위적으로 결합시키고 합성시킨 윤활유를 말한다
흔히 사용하는 광유는 20% 이상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 오랫동안 사용하면 각종 엔진 문제를 일으키지만 합성유는 불순물이 없고 분자 구조가 단단하고 안정해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입해도 성능저하가 적다.

 

2.1 PAO(Poly Alpha Olefin) 합성유

원유 증류시에 LPG 다음으로 나오는 에틸렌은 수많은 화학제품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  에틸렌을 원재료로 해서 복잡한 폴리머 중합 공정을 거쳐 분자 구조식이 전혀 다른 올레핀계 폴리머를 합성하고 여기에 첨가제(청정분산제, 산화방지제, 점도지수향상제)를 넣어서 PAO 합성유 제조하게 된다.

이 기술은 온도 변화가 급격한 우주선 엔진 오일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달되었고 지금도 항공기 엔진에 사용되고 있다.

합성유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윤활특성, 점도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동일 5W 점도를 가졌더라도 광유는 -35도에서 얼고, 합성유는 -55도에서 언다.
MOBIL1, MOTUL 8100, ARAL SuperTronic, AGIP Evolution 등이 있다.

 

2.2 Ester(식물성) 합성유

앞에서 말한 광유, VHVI, PAO는 광물인 원유에서 증류되거나 합성된 것이지만  에스테르는 식물성 원재료를 이용해서 합성된 최고등급의 엔진오일이다PAO합성유보다 한단계 진보한 합성엔진오일로 요즘 오일매니아가 가장 선호하는 오일로 랠리, 스피드 경주 차량의 엔진 오일에 사용되 시작해서 요즘에 많이 대중화 된 오일이고, 식물에서 추출한 합성유로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빨라 친환경적이다

MOTUL 300V, 파워클러스터 빌렌자, 각 제품의 Racing 시리즈가 이에 속한다 (1리터 2만원 이상)
일부 오일은  PAO + ESTER 혼합한 오일도 있죠. (AMSOIL)

 

3. 부분합성유 (Semi Synthetic, 50% Synthetic) 또는 반합성유

성능 좋은 합성유는 비싸고, 광유는 성능이 떨어지고, 이런 틈새 시장을 노린 상품임.
부분합성유는 광유와 정제 광유인 VHVI오일을 혼합한 경제적인 오일이다. 일명 짬뽕오일.
닛산에 사용하는 Shell (Helix plus) SM SAE 5W30 (1리터 5500원)이 부분합성유다.
부분합성유라 부르지만 일반광유와 정제광유를 혼합한 저가의 광유계 오일이다.
부분합성유는 Group 2 와 Group 3 사이에 위치할걸로 예상.

  


4. 외국의 합성유 표기방식

     일반 광유에서 합성기유가 포함된 양에 따라
       1%  ~  15%  미만 합성기유가 포함될경우 (partial synthetic) 부분합성유로 판매
      15% ~  50%  미만 합성기유가 포함될경우 (semi synthetic)   50% 합성유로 판매
      50% ~  80%  미만 합성기유가 포함될경우 (full synthetic)       완전합성유로 판매
      80% ~ 100%  미만 합성기유가 포함될경우 (pure synthetic)  100% 합성유로 판매


5. 우리나라 합성유 순도표기

   국산 오일은 원재료 및 함량을 제대로 표기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하며
   광유에 VHVI를 1%만 넣어도 합성유로 표기가 가능하단다 (지크XQ 판례) .

       A.'합성유' 표기 제품 :   대부분이 광유임. 부분합성유(광유+VHVI), VHVI(정제광유)
       B.'100% 합성유' 표기 제품 :   VHVI+PAO, 완전합성유, 100% 합성유 중에 하나?
   100% 합성유라고 해도 베이스오일인 PAO 함량을 밝히지 않아 판단 기준이 모호함.

 

한국사례 : 지크XQ의 "synthetic 문구 사용불가 가처분신청" 이 법원에서 기각
미쿡사례 : 쉘과 BP, 캐스트롤이 VHVI를 포함한 엔진오일을 100% 합성유라고 광고한 것이 이유다.
당시 PAO 합성유를 판매하던 액슨모빌은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시장에서 고전을 겪었고,  고소를 통해 법정공방까지 벌였지만, 결국 VHVI는 합성유로 인정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석유협회는 그룹1과 2는 광유, 그룹3은 VHVI, 그룹4는 PAO, 그룹5는 에스테르로 확실한 선을 그었다.


6.어떤 오일을 선택할 것인가? 
7. 오일 점도의 선택

8. 플러싱을 꼭 해야 하나?
9. 오일교환의 경제적인 방법

 

 (네이버/닛산카페에서 인용한 글입니다. 6번~9번의 자세한 내용은 이견과 테클 예상으로 생략합니다./아고라 자방 이삿짐^^*)

 

var flashVersion = parent.swfobject.getFlashPlayerVersion(); if(typeof flashVersion != "undefined" && typeof flashVersion.major != "undefined" && flashVersion.major >= 10 && typeof ExifViewer != "undefined"){ var getTxImages = function () { var result, txImages, images, i, len, img; result = []; images = []; txImages = document.body.getElementsByTagName("img"); len = txImages.length; for (i = 0; i < len; i += 1) { img = txImages[i]; if (/tx\-daum\-image|txc\-image/.test(img.className)) { images.push(img); } } return result; }; var txImages = getTxImages(); ExifViewer.load({ serviceName: "blog", images: txImages, showAllItem: false, imageViewer: { templateValue: { blogid: encodeURIComponent(BLOGID), articleurl: encodeURIComponent("http://blog.daum.net/qkrwjddhr745/2342") }, photoList: { photoListProtocol: "blogphotolistselect", photoListDataFromUrl: "http://blog.daum.net/_blog/api/PhotoListSelectImageViewer.do?blogid={blogid}&articleurl={articleurl}&imageurl={imageurl}" }, groupList: { groupListProtocol: "blogcatelist", groupListDataFromUrl: "http://blog.daum.net/_blog/api/CategoryList.do?blogid={blogid}" }, data: { count: txImages.length, getViewingUrl: function (index) { return txImages[index].src; } } } }); }
출처 : 사오십대 쉼터
글쓴이 : 곰천사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