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³оΟ♡/자동차♡상식

[스크랩] 얼어붙은 도로 운전 요령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2. 4. 25.

 

눈길과 빙판길 주행에서의 기본은 평소 보다 느리고 여유있게

겨울철에는 눈길과 빙판길 주행으로 인한 미끄러짐 사고 발생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미끄러짐이 예상되는 도로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저속으로 주행하며, 제동 시에도 앞차와의 거리를 충분하게 유지한 후에 제동페달을 밟는다.

눈길 운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유를 갖고 운전해야 한다. 급출발, 급가속, 급회전, 급정지 등 급작스런 조작을 할 경우 차량이 눈길이나 방판 위에서 미끄러져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운전 전, 반드시 차량에 쌓인 눈 모두 제거한다.

전조등, 지붕, 트렁크, 창문, 사이드미러 등을 포함한 차량 외부에 쌓인 눈을 모두 제거하고, 특히 전조등이나 방향지시등 등은 상대 차량에게 내 차량의 주행이나 방향 전환 등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것이므로 눈으로 가려진 부위를 제거해야 한다. 또, 신발 밑창의 눈을 제거하고, 얼어있는 유리창도 열선기능이나 성애 제거제 등으로 없앤 후에 운전을 시작해야 한다.


차간거리 충분히 유지하고, 저속으로 천천히 운전한다.

눈이 내려 쌓여있거나 녹아서 얼어붙은 도로는 매우 미끄러지기 쉽다. 속도를 내면 커브나 교차점에서 정지할 수 없으므로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시속 40km 기준으로 제동거리는 건조한 노면에서 보다 2배~3배 길어지기 때문에 속도를 낮게, 차간거리를 충분히 유지해야 한다.


제동페달에만 의지하지 말고, 엔진 브레이크 잘 활용한다.

눈길에서 제동페달만 사용하면 회전현상 때문에 차체가 겉돌게 되고 스티어링 휠(핸들)이 통제 불능 상태로 빠지기 쉽다. 제동페달을 부드럽게 밟는 습관을 들이고 엔진 브레이크를 잘 활용한다. 엔진 브레이크는 달리는 속도에 비해 한 단계 낮은 기어를 넣어 주행속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내리막길이나 빙판길에 주행단(D)으로 달리다 저단으로 낮추면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눈길에서 정차할 때는 제동페달을 바로 밟지 말고 3단에서 2단, 2단에서 1단으로 기어를 변속해 엔진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의 속도를 줄인 후에 제동페달을 밟으면 미끄러짐을 줄일 수 있다. ABS 브레이크나 차량제어장치(VDC/TCS/ESC) 등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내리막길이나 빙판길 주행 방법에 대해 차량설명서에 소개되어 있으므로 본인의 차량에 적합한 방식을 미리 확인해둔다.


앞차 바퀴자국 따라 주행하면 미끄러짐 줄일 수 있다.

눈이 쌓인 도로에서는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 운행하는 것이 좋다. 바퀴자국은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다소 막아주기 때문이다. 또, 바퀴 자국이 없는 길에서는 눈 속에서 파묻힌 구덩이나 장애물 등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2단으로 출발한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2단 출발을 하는 것이 좋다. 1단으로 출발하면 구동력이 너무 커서 바퀴가 헛돌 위험이 있지만, 2단으로 출발하면 구동력이 줄어 적당한 마찰력을 일으키며 차가 부드럽게 움직인다. 일부 차량에서는 SNOW나 HOLD 등의 2단 출발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므로, 차량설명서를 참고하도록 한다.


커브길 나타나면 미리 감속한 뒤, 커브에서 가속페달 천천히 밟는다.

겨울철 커브길에서는 미리 감속한 뒤 커브에서 가속페달을 조금씩 밟아  미끄러짐을 최소화 하면서 천천히 빠져나와야 한다. 대부분 운전자가 커브를 돌면서 브레이크를 밟는데, 겨울철 커브길에서는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노면이 미끄러워 사고의 위험이 높다. 또, 커브 진행 중 엔진 브레이크나 기어변속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김민 보쉬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사업부 이사는 "눈길, 빙판길에서는 교통사고 우려가 높아 안전운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위험요소에 대비하는 방어요령을 익히고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킨다면 사고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사오십대 쉼터
글쓴이 : 곰천사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