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창고·´″°³оΟ♡/무역♡수출입자료

컨테이너에 대하여 - CBM, 화물비 견적내는 방법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13. 11. 20.

컨테이너에 대하여 - CBM, 화물비 견적내는 방법


컨테이너의 종류

 

(컨테이너 운송의 의의)
컨테이너란 물적유통부문의 포장, 운송, 하역 및 보관 등에서 육·해·공의 연합으로 경제성·신속성 및 안전성을 최대한으로 충족시키고 화물의 운송 도중 이적없이 일관운송을 실현시킨 혁신적인 운송도구이다. 즉, 컨테이너라고 하는 국제적인 규격용기를 사용하여 육해일관수송을 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컨테이너 최대 적재량)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총 중량은 컨테이너의 종류에 따라 정해져 있다. 최대적재중량은 컨테이너의 총중량에서 컨테이너의 자체중량 을 공제한 중량이 된다.
대개 20’드라이 컨테이너의 경우 41,270 lb이며, 40’드라이컨테이너의 경우
60,810 lb이다. 컨테이너의 최대총중량은 안전하중으로서 이를 초과하는
컨테이너는 수송기관에서 선적을 거부당하게 된다.


1. DRY CONTAINER(건 컨테이너)

액체화물 이외의 또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잡화를 수송하는 가장 보편적인 컨테이너로 전(全) 컨테이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전후 방향의 한쪽 끝에 2개의 DOOR가 있고 각각의 DOOR는 약 270도 개폐가 가능하다. 대상화물이 DRY CARGO이므로 DOOR의 주위에는 NEOPRENE(합성고무의 일종) 등으로 포장되어 있어 내장화물을 비,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2. HIGH CUBE CONTAINER(배고(背高)컨테이너)

보통 ISO규격 컨테이너는 그 높이가 8피트 6인치이지만 그보다 높이가 1피트 높은 9피트 6인치짜리인 컨테이너도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를 HIGH CUBE CONTAINER라고 한다. 보통 20"형(型) 보다는 40"형(型)의 컨테이너에 HIGH CUBE형(型)이 많으며 별명으로 JUMBO CONTAINER라고 부르기도 한다. HIGH CUBE CONTAINER는 높이가 높기 때문에 나라에 따라서는 국내 통행을 제한하기도 한다.

 

3. REEFER CONTAINER, FROZEN PRODUCTS CONTAINER(냉동 컨테이너)

국제 대형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보통 냉동기를 사용하여 적화에 대한 소정의 온도를 보존하는 냉각장치의 설비 방식에 따라 별치식(別置 式) 냉동 컨테이너와 내장식 냉동 컨테이너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컨테이너 선(船)에 적재하는 냉동 컨테이너는 냉동 유니트(UNIT)를 작동 시켜 섭씨+26 ~ -28까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수송중에 냉각을 계속하기 위하여 전원이 필요하다. 냉각방식에는 수냉시과 공냉식이 있어 갑판적인 경우에는 공냉식에 의하여 열을 대기중에 방산(放散)하고 있으며 창내 적재인 경우에는 창내의 풍량이 부족하므로 수냉식에 의하여 열을 냉각수에 방산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처럼 냉동컨테이너는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며 규정된 SPACE 이외에는 적치할 수가 없다.

 

4. OPEN TOP CONTAINER(천정 개방형 컨테이너)

기계류, 철강재품, 판유리등 중량화물 수송에 적합한 컨테이너로서 천장을 개방 할 수 있도록 캔버스 덮개로 되어 있으며 적입(積入), 적출 시(積出時)에는 크레인을 사용, 컨테이너 상부에서 하역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천장이 없기 때문에 강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SPREADER BOW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5. FLAT RACK CONTAINER

PLATFORM CONTAINER라고도 하는데 DRY CONTAINER의 천장과 좌우 측벽(側壁)을 제거한 모양으로서 양단벽(兩端壁도)까지도 떼 었다 붙였다 할 수 있어 바닥과 네구석의 기둥만의 형태가 된다. 전후좌우 그리고 위로부터 하역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계류. 강재. 목재등 비교적 무겁고 흔들리더라도 지장이 없는 화물의 수송에 적합하며 지게차로도 하역할 수 있어 의외로 이용도가 높다.

 

6. TANK CONTAINER(탱크 컨테이너)

액체화물의 해상수송용 용기. 일반 건화물용 컨테이너와 같은 방식으로 하역작업을 하기 위해 일반 컨테이너와 같은 사양의 용기내에 원주형의 용기를 설치한 컨테이너로 술, 유류, 화학풍 등의 액체상태의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해 만든 컨테이너이다. TANK CONTAINER는 위험 및 비위험 액체화물 운송에 사용되며 가열을 위한 장비가 부착된 종류도 있다.

 

7. OPEN SIDED CONTAINER(개방식 컨테이너)

선적과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의 측면 접근이 가능하도록 측면을 개방한 컨테이너. 이 컨테이너 취급 시에는 해상운임에 할증료가 부과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8. VENTILATED CONTAINER(통기(通氣)컨테이너)

통풍을 요하는 화물을 컨테이너로 운송할 때 사용되는 컨테이너로 일반적인 컨테이너와 외견상 비슷하나 컨테이너 위쪽과 아래쪽에 구멍 이 있어 환기가 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주로 커피등 농산물을 수송할 때 사용된다.

 

 

CBM 산정법

-

 

  CBM 이란 Cubic Meter의 약자로서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미터인 부피를 환산 하는 단위 입니다. 컨테이너 적재 능력은 중량 과 부피로 가늠이 되는데 중량은 Ton 이나 kg으로 부피는 CBM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최대 적재 부피는 그 내장 Size에 의해 결정이 되지만 컨테이너 내, 외장 Size는 운송단위 규격화를 위해 국제적으로 통일 되어 있습니다. (제작사에따라 무시할 정도의 근소한 차이는 있음).

 

아래는 컨테이너 내장 Size 의 최소치를 기준으로 적어 놓은 것 인데 어느 선사의 컨테이너라도 아래의 수치를 적용 하면 무리가 없을것 입니다.

* 내장 Size ; 길이/폭/높이/CBM
- 20ft(Dry) ; 5.8M/2.3M/2.3M/30.682
- 40ft(Dry) ; 12M/2.3M/2.3M/63.480
(CBM은 위의 숫자를 곱하면 나옴)

 

그런데 위의 CBM은 물이 아닌 다음에는 실제 화물을 적재 할 경우 나올수 있는 수치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화물 적재시 Dead Space(빈 공간)가 생기기 때문인데 이는 화물의 외장 Size에 달려 있습니다. 일예로 어느 1개 화물의 포장후의 외장 높이가 1.2M를 넘게 되면 컨테이너 내 2단적재(2층으로 쌓는것)가 안되므로 화물을 많이 적재 할 수 없습니다. (물론 폭이 좁고 물건을 옆으로 뉘어도 상관이 없다면 문제가 달라 지겠지만)

 

일반적으로 화물의 단위당 용적(CBM)이 작을수록 화물은 많이 적재 할 수 있습니다. 즉 같은 30CBM의 화물이라도 단위당 화물의 Size가 책상 만한 것과 라면 Box 만 한 것이 있다면 라면 Box 만한 화물의 Dead Space가 적게 나오기 때문에 화물을 더 많이 적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상 만한 화물이나 더 큰 화물 이라도 컨테이너의 내장 Size를 감안, 포장을 제작 하였다면 문제는 달라지겠지요.

 


화물비 견적내는 방법


  CBM이란 Cubic Meter의 약자로 화물의 용적(부피)을 표시하는 단위입니다. 가로 1m, 세로 1m, 높이 1m인 화물의 CBM은 1×1×1=1CBM이 됩니다. 즉, 화물의 가로, 세로,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값이 CBM입니다. 예) 가로 80cm, 세로 120cm, 높이 50cm 인 화물의 CBM은?

⇒ 0.8×1.2×0.5=0.48CBM

 

M/T란 Metric ton의 약자로 kilo ton이라고도 부르며

화물의 중량(무게)을 표시하는 단위입니다. 즉 1 M/T=1,000kg을 의미합니다. 한편, 해상운임, 창고료 등 물류관련 각종 요금 청구시 사용되는 단위는 R/T (Revenue Tonnage)로써 용적과 중량 가운데 비용이 많은 쪽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 물류관련 요금은 부피 및 중량에 따른 요금이 정해져 있는데, 어떤
화물의 부피와 중량에 따른 요금이 상이할 경우 비싼쪽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 

 

300x25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