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자료/반려견♡질병관리

강아지 장염증상과 예방법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23. 4. 26.

강아지 장염

   장염이 생기는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다양하다..

 

1. 장염 증상

   장염은 위장계열 (소장, 대장, 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구토, 설사, 발열, 탈수, 식욕부진, 무기력증, 혈변, 체중감소등 증세가 나타난다.

   구토, 설사를 하루 이상 지속하면 병원에서 검사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장염은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물질을 흡입, 사료나 간식을 교체,

   환경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후, 동물병원에 가는게 좋다.

 

2. 장염 종류

 a. 세균성 장염

   살모렐라균, 캄필로박터균 등의 세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질병으로.

   세균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었을때 나타난다.

   ​세균의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여 원인에 맞는 처방을 통해 치료를 받는게 좋다.

   방치할 경우 만성 장염으로 이어질수 있다.

 

 b. 기생충 감염에 의한 장염

   회충, 촌충, 편충등 내부 기생충으로 인해 감염되는데, ​

   설사, 혈변, 구토 등의 장염증상을 보일수 있다.

   기생충 감염인 경우 대변에서 기생충 혹은 기생충 알이 발견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구충제를 급여하고, 여름에 풀이나 물가에 산책하는걸 주의해야 한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증상이 발견 즉시 동물병원에 내원해 치료를 해야 한다.

 

 c. 바이러스성 장염

   파보바이러스나 코로나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주로 퍼피 강아지들에게 발생한다.  

   확실한 치료법이 없는 만큼 백신접종을 통해 예방해야 한다

 

   파보 장염  : 파보 바이러스로 인해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오염된 환경, 다른 동물의 배설물로 인해 전염된다. 

   생후 6주~6개월 정도의 어린 강아지에게 쉽게 나타난다.

   전염성이 매우 높은데, 5~10일 정도의 잠복기가 있어 예방이 어려워,

   주기적인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을 해야한다.

   출혈성 장염으로 혈변, 악취가 나는 회색 변을 볼수있고,

   백혈구 수치를 떨어트리기 때문에 빈혈, 쇼크가 발생하는등 위험성이 높아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코로나 장염 :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다른 동물의 분비물, 배설물을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많다.

   구토, 무기력증 같은 일반적인 장염 증상과 함께 주황색 설사를 하는게 특징이다.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백신 접종을 하는게 좋다.

 

 d. 스트레스성 장염

   갑작스런 환경변화, 충격적인 사건으로 인해 큰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발생할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장내 유익균은 줄어들고 유해균은 늘어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성일 경우 배변시 긴장을 하거나 자주 배변을 보는 모습을 보이고,

   분변검사에는 세균, 기생충,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는다.

   스트레스성 장염이 의심되면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하고,

   유산균을 먹이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e. 염증성 장질환 (IBD)

   염증성 장질환은 장 점막에 염증이 생겨 소화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질병으로,

   구토, 설사, 식욕부진, 혈변 등의 장염 증상을 겪게 된다.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발병한 경우 약물 치료, 처방식 급여, 간식 제한 등의 방법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

3. 장염 예방

   물을 자주 갈아주고 상한 음식이나 이물질을 먹지 않게 주의하고, ​

   물그릇의 세척도 자주 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트레스 요인을 줄이고 해소시켜 주는것이 중요하고 면역력 강화와

   장건강을 위해 유산균 급여를 해주는 것이 좋다.

​   규칙적인 산책과 생활여건을 조성해 주시는 것이 좋다.

​   과식이나 폭식을 못하게 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갖도록 해주고

   사료등의 변화는 일주일에 거쳐 천천히 바꾸어 주어야 한다.

300x250
반응형
SMALL

'반려동물 자료 > 반려견♡질병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치매증상과 예방법  (0) 2023.05.04
강아지 기생충 감염과 예방법  (0) 2023.04.26
강아지 눈관리  (0) 2023.04.23
강아지 안과질환  (0) 2023.04.20
강아지 귀질환  (0)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