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자료/반려견♡질병관리

강아지 질병

by 따그니(화려한백수) 2023. 3. 15.

강아지의 질병의 종류

질환기
질환내용
호흡기
콧물, 계속되는 재채기, 기침, 구역질, 호흡 곤란, 심한코골이
눈의 분비물, 시력 감퇴, 염증, 감염으로 인한 출혈, 흐린 테가 끼는 경우
귀 고름, 머리를 흔들어 대는 경우, 귀가 부어 오르는 경우, 균형상실, 난청
침을 질질 흘리는 경우, 식욕 저하, 잇몸의 염증, 구취, 이빨이 부러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외부기생충
지나치게 핥는 경우, 기생충이 발견되는 경우, 비듬, 탈모, 긁적거림
피와 심장
지나친 기침, 빈혈, 무기력증, 지나친 기침, 운동을 기피하는 경우
뼈, 근육, 관절
감염된 부분의 부어 오름, 다리를 만지면 통증을 느끼는 경우, 마비, 절룩거림
신경성
발작이나 경련, 비틀거리는 걸음걸이 일부 또는 전신 마비
소화기
행동상의 변화, 균형의 상실, 체중의 과도한 변화, 식욕 상실, 변비, 설사 구토
피부 및 털
갑자기 씹어 대거나 핥는 경우, 염증 또는 종양, 탈모, 계속 긁어 대는 경우
생식기
유방의 통증, 생식 불능, 유산, 출산 후의 이상, 이상 분비물
비뇨기
배뇨가 힘든 경우, 혈뇨, 대소변 실금, 소변량의 증가, 배뇨의 감소
기생충
분비물에서 기생충을 발견하는 경우, 배가 부어 오르는 경우, 설사, 항문에서 이 물질을 발견 하는 경우, 체중 감소

 

응급처치방법

반려견의 교통사고, 일사병, 골절이나 화상, 급한 호흡의 곤란 등으로 인한 경우

빠르게 대응하여 애견을 사고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런 사고를 당한 반려견은 쇼크나 통증으로 사납고 난폭해지므로 인간의 신체에 해가 가지 않게 해야한다.

특히 물지 못하도록 기본적인 안전장치를 한 다음 애견에 적절한 응급치료나 적당한 방법으로 병원으로 데려간다.

부상당한 장소가 복잡하거나 위험에 노출된 장소이면 곧 바로 안전한 장소로 이동 시킨다.

운반할 때는 개의 신체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또 다른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다.

흥분하거나 쇼크 상태이기 때문에 침착하게 개에게 말을 걸어 주의를 끌어 안심시키고, 많은 사람들의 접근을 막는다.

쇼크나 통증으로 주인도 물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를 요한다.

적당한 보호장치와 같은 조치를 취해 물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또한 응급처치나 운반을 할 때는

장갑이나 수건을 이용하여 개의 몸을 감싸여 이동한다.

응급처치는 신속하게 정확하게 한다. 긴 타월을 이용해 개의 복부를 타월로 감싸고 목 부분을 묶은 뒤

개를 안아서 운반한다.

판자나 두꺼운 시트를 들 것 대용으로 이용할 경우, 개를 바닥으로 미끄러지듯이 부드럽게 이동시킨다.

개가 떨어지거나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끈이나 부드러운 천을 이용해 묶어서 고정 시켜준다.

 

300x250
반응형
SMALL

'반려동물 자료 > 반려견♡질병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토할때  (0) 2023.03.16
강아지 심장사상충  (0) 2023.03.15
강아지 슬개골  (0) 2023.03.15
강아지 몸을 떠는이유  (0) 2023.03.15
강아지 식분증  (0)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