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유치와 영구치
오늘은 강아지 치아에 대해서 공부를 해본다. 1. 강아지 유치와 영구치 유치가 자라는 시기는, 생후 20일부터 나기 시작해서, 5~12주면 모두 자란다. 2~4주에는 앞니와 송곳니부터 나기시작해서, 4~12주 까지는 어금니가 난다 보통 생후 2개월부터 건조사료를 주면 치아 건강에 좋다는 이유다. 작은 강아지는 유치나온걸 보고 대충 개월수를 유추해 볼수 있다. 유치가 나오는 시기는 앞니 : 생후 3주~6주, 윗니 6개, 아랫니 6개가 난다. 송곳니 : 생후 2~4주, 윗니 2개, 아랫니 2개가 난다. 작은 어금니 : 생후 6~8주, 윗니 6개, 아랫니 6개가 난다. 큰 어금니 : 유치에는 나지 않는다 강아지 유치는 보통 28개가 난다. 영구치가 자라는 시기는, 생후 3~4개월부터 나기 시작해서, 6~7주면..
2023. 4. 10.
강아지 예방접종
1. 강아지 예방접종 강아지 생후 45일~ 16주 전까지 기본예방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생후 45일부터 점점 약해지기 시작하기때문에. 생후 16주 전까지는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생성해 줘야 한다. 2. 예방접종 종류 홍역, 간염, 파보장염, 파라인플루엔자, 렉토 스피라를 예방하기 위한 종합 예방접종, 코로나 장염 예방접종, 켄넬 코드 예방접종 광견병, 기생충 구제, 심장 사사충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접종이 있다. 종류에는 종합백신(필수), 코로나 장염(필수/선택), 켄넬코프(필수), 광견병(필수), 인플루엔자(선택) 이 있다, a. 종합백신(DHPPL)-종합 7종 백신(DA2PPL): (필수) 개 홍역, 전염성 간염, 아데노바이러스성 기관지염, 파보바이러스성 장염, 파라인플루엔자성 기관지염및 렙토스피라..
2023. 3. 26.
강아지 혀
오늘은 강아지 혀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강아지 혀의 색상을 보고 건강상태를 알아볼수 있다 정상적인 강아지들의 혀는 분홍색을 띈다. 분홍색이 아닐경우에는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게 중요하다. 혀 색상별 증상 1. 파란색, 보라색 혀 산소가 부족, 혈관이나 호흡기관, 심장, 간에 이상이 있는경우에 나타난다. 날씨가 너무 더워서 호흡하기가 쉽지 않을때 살짝 보라색을 띄는 경우도 있다. 2. 햐얀색 혀 혀가 흰색일 경우는 긴급성이 높은 경우가 많다 빈혈, 출혈, 부종, 폐, 위장장애, 혈압문제, 호흡부전, 영양실조일때 나타난다. 호흡부전은 폐에서 산소를 흡수할수 없는 상태(호흡곤란)를 말한다. 호흡부전이 심해지면, 청색증(파란색, 보라색)이 나타난다. 3. 노란색 혀 위염, 담즙, 간, 방광등에 문제가 있을때 나타..
2023. 3. 24.
강아지 알레르기
1. 알레르기와 아토피 알레르기(알러지)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체내로 들어오면 몸을 보호하기 위해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것 아토피는 특정시기에 꽃가루,진드기, 먼지등에의해 나타나는 간지러움이다. 아토피성 피부염(환경에서 오는 알러지)와 식이 알러지(먹는 것에 대한 알러지) 2. 알레르기 원인 음식 알레르기 유발 가능 재료 : 닭, 소, 양, 돼지, 토끼, 유제품, 계란, 옥수수, 대두(콩), 밀 등 단백질류 제품 환경적인 계절성 알레르기 : 먼지, 집먼지에 노출, 꽃가루, 벼룩, 진드기에 노출 알레르기중 음식 알레르기가 10%정도, 계절성 알레르기가 30% 정도라고 한다. 알레르기는 강아지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이라고 한다. 알레르기가 높게 나타나는 음식류 중에는 소고기류, 유제품류가 가장 높게 ..
2023. 3. 19.
강아지 복명음
강아지의 복명음이란' 배에서 꼬르륵하며 소리가 나는걸 말한다. 1. 복명음 원인 배 고픔 - 위가 비어있을때 날수가 있다 자주 소리가 날경우는 사료 급여 회수를 늘리고, 사료양도 늘려준다. 설사 - 설사를 위한 신호일수 있다. 설사가 날때는 6~12시간을 금식시킨다. 이때, 당뇨나 저혈당이면, 설탕물이나 꿀물을 급여한다. 저칼로리성(삶은달걀, 삶은감자,호박죽,쌀죽,요거트...) 음식을 준다. 이물질 섭취 - 먹어서는 안될 음식이나, 장난감류를 삼켰을때, 저질사료나 간식, 탄수화물이 높은 음식을 섭취하여 배에 가스가 찼을때. 장폐쇄 - 장관이 막혀 장의 내용물이 정채되어 있을때. 뼈, 돌, 장난감, 동전, 실, 심지, 씨앗.....소화가 안되는것을 삼켰을때 기생충, 세균감염 - 기생충이나 박테리아에 감염되..
2023. 3. 17.